目次

들어가며 PART 1 기술과 일의 역사 chapter1 섣부른 불안 러다이트와 자동화 불안 이번에는 다를 수도 있다 인간을 보완하는 유익한 힘 큰 그림을 보라 chapter2 노동의 시대 20세기와 그 이전 21세기가 쓰는 새로운 이야기 ALM 가설에서 얻은 통찰 낙관적 사고방식, 인간의 일은 언제나 존재한다? chapter3 실용주의 혁명 1차 AI 물결: 인간을 모방하려는 시도 2차 AI 물결: 과제를 수행하는 로봇 우선순위의 변화: 인간에서 기계로 지적 설계가 아닌 자연선택 chapter4 기계 경시 순수주의자들의 실망 ‘범용 인공지능’에 사로잡혀 우리가 놓쳐 버린 것 실용주의 혁명이 경제학자에게 미친 영향 인공지능은 인간을 모방할 필요가 없다 인간 지능의 추락 PART 2 위협 chapter5 업무 잠식 신체 능력: 무인화가 가져올 파장 인지 능력: 알고리즘이 인간을 대체한다 감성 능력: 인간의 감정에 반응하는 로봇 업무 잠식은 예측이 아닌 현실이다 지역에 따라 다른 속도 chapter6 마찰적 기술 실업 일거리는 있다, 다만 손에 닿지 않을 뿐 숙련 기술의 불일치 정체성의 불일치 장소의 불일치 실업만이 문제가 아니다 chapter7 구조적 기술 실업 보완하는 힘의 약화 우월성 추정은 틀렸다 우리에게 남는 업무는 얼마나 많은가 ‘노동 총량 불변의 오류’의 오류 ‘노동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일이 줄어드는 시기는 언제인가 기술적 실업이 드러낼 우리의 본모습 chapter8 기술과 불평등 두 가지 자본 기술적 실업이라는 난관 소득 불평등의 전반적인 증가 부익부 빈익빈 현상 노동 소득 분배율의 감소 0.1퍼센트 대 90퍼센트 불평등이 가져올 앞날 내다보기 분배 문제가 핵심이다 PART 3 대응 chapter9 교육과 한계 ‘더 많은 교육’에 대한 다양한 해석 무엇을 가르칠까: 혹은 가르치지 않을 것인가 어떻게 가르칠까: 적응형 및 개별화 학습 언제 가르칠까: 평생 학습 받아들이기 교육 기관에 대한 비판 교육의 한계와 인간의 한계 경제적 번영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chapter10 큰 정부 복지 국가란 무엇일까 소득이 쌓이는 곳에 세금이 있다 소득을 분배하는 정부 조건적 기본 소득이란 무엇인가 자본을 분배하는 정부 노동을 지원하는 정부 chapter11 기술 대기업 왜 기술 기업인가? 왜 대기업인가? 기술 대기업을 우려하는 경제적 논거 기술 대기업을 우려하는 정치적 논거 정치적 힘을 감독할 수 있는 기관 chapter12 삶의 의미와 목적 인간은 왜 그토록 일에 의미를 부여할까 삶의 의미와 일의 관계는 절대적인가 일은 새로운 인민의 아편이다 여가가 끔찍한 선물이 되지 않기 위한 정책 다시 ‘일’을 생각하기 조건적 기본 소득의 역할 삶의 의미를 만드는 정부 마치며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