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PROLOGUE. 들어가기 전에 ? 우리는 누구나 논증의 달인이다 ? 글쓰기의 부분동작부터 마스터하자 ? 대학에서 요구하는 글쓰기는 어떻게 다를까? ? 논증과 글쓰기에 관한 책은 많지만 이 책은 다르다 ?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 조셉 윌리엄스를 기리며 PART 1. 논증이란?무엇인가? 논증의 본질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살펴본다. 1부는 최대한 빨리 읽는 것이 좋다. 이것만 제대로 읽어도 논증을 구성하고 글을 쓰는 데 필요한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01. 21세기를 이끄는 힘?논증과 비판적 사고 ? 논증이란 무엇인가? ? 논증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논증은 어떻게 비판적 사고를 뒷받침하는가? ? 논증이 아닌 것은 논증과 어떻게 다를까? 02. 독자의 눈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라?대화에서 이끌어내는 논증의 원리 ? 다섯 가지 질문으로 만드는 논증의 뼈대 ? 일상적인 대화에서 찾는 논증의 원리 ? 어디에서나 적용할 수 있는 논증모형 ? 논증모형을 활용한 논증글 설계도 03. 독자의 관심을 어떻게 끌 것인가??서론과 결론 쓰기 ? 글쓰기는 논증에 어떻게 도움이 될까? ?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가?: 개념문제와 실용문제 ? 서론의 핵심: 문제 구성하기 ? 서론의 외곽구조: 공감대와 해법 ? 결론 쓰는 방법 ? 생각을 풀어내는 과정으로서 서론과 결론 PART II 논증을 전개하는 기술 논증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를 자세히 살펴본다. 물론 순서대로 읽어 나가는 것이 가장 좋지만, 글을 쓰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 먼저 찾아서 읽어도 좋다. 04.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가??주장 ? 어떻게 해법을 찾아낼 것인가? ? 지금 이 문제에는 어떤 주장이 필요한가? ? 사람들이 시간을 들여 귀 기울일 만한 주장인가? ? 생각의 깊이가 드러나는 사려깊은 주장인가? 05. 독자를 어떻게 납득시킬 것인가??이유와 근거 ? 주장을 떠받치는 이유와 근거 ? 우리가 제시하는 근거는 진짜 근거일까? ? 이유가 여러 개일 때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 근거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06. 진실은 어디있는가??근거보고 ? 어떤 근거를 제시해야 할까? ? 근거의 질을 판단하는 네 가지 원칙 ? 근거를 어떻게 보고해야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까? ? 근거보고를 어느 선까지 의심할 것인가? 07. 독자의 질문에 대답하라?반론 수용과 반박 ?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나를 바라보라 ? 다른 관점을 떠올리는 것이 어려운 이유 ? 논증에 일관성이 있는가? ? 반론에 대해 반박하기 08. 숨어있는 논리를 찾아라?전제 ? 주장과 이유 사이에 숨어있는 논리 ? 전제는 어떻게 생겼을까? ? 전제는 어떻게 작동할까? ? 전제는 언제 드러내야 할까? ? 적절한 전제인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 실제 논증에서 전제에 대해 질문하기 ? 근거와 이유를 이어주는 전제 ? 근거로 뒷받침하는 논증과 전제로 뒷받침하는 논증 PART III 논증의 한계 논증을 하다 보면 단어의 의미나 인과관계를 따져야 할 때가 많다. 사실 의미와 인과관계를 따지는 작업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 책에서 가장 난해한 부분이 될 것이다. 09. 우리는 정말 객관적으로 사고할 수 있을까??추론의 형식 ? 생각을 펼쳐 나가는 세 가지 방법 ? 비판적 사고를 가로막는 추론의 함정 10. 내 말의 의미는 말이야?의미를 따지는 논증 ? 외설인가 예술인가 ? 의미를 따지는 논증 속에 숨어있는 문제 ? 의미를 점령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 11. 이 모든 사태는 무엇 때문인가??원인을 따지는 논증 ? 끝없이 펼쳐진 인과의 사슬들 ? 진짜 원인은 무엇일까? ?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 인과관계를 따질 때 네 가지 주의해야 할 점 ? 누구 덕분인가? 누구 때문인가? ? 책임을 묻기 위한 다섯 가지 기준 ? 그럼에도 잘못된 판단을 하는 이유: 귀속편향 PART IV 논증의 언어 설득은 어쨌든 언어를 통해 이뤄진다. 설득의 힘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명확하고 생생하게 쓰는 법을 설명한다. 12. 명확하게 간결하게 생생하게?좋은 글이란 무엇인가? ? 좋은 글에서 나오는 설득의 힘 ?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글쓰기 6원칙 ? 간결한 표현 속에 의미를 담아라 ? 생생한 표현으로 5감을 자극하라 ? 구체적인 진술과 보편적 진술 13. 말 속에 담긴 감정과 사고방식?언어와 이데올로기 ?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는 기술 ? 이성적 사고를 마비시키는 감정적 언어 ? 주어를 바꿈으로써 관점 조작하기 ? 비유를 활용하여 시나리오 조작하기 PART V 글쓰기 전략 논증의 본질을 이해하고 논증모형을 배우는 것은 실제 논증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논증글을 쓰는 데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배운 지식을 글을 쓰는 데 적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실질적인 조언들을 글쓰기 프로세스에 맞춰 소개한다. 14. 과정으로서 글쓰기?글쓰기 프로세스 ? 글을 완성하는 6단계 프로세스 step1 글쓰기의 시작생각하기?말하기 ? 논증의 뼈대가 되는 질문으로 비판적 사고 기르기 ? 엘리베이터스토리 만들기 step2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읽기?조사하기 ? 스키밍: 글의 구조를 파악하라 ?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