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들어가는 글_4~7세 학령기 전 뇌 발달 핵심은 ‘조절 능력’입니다 Part 1. 4~7세에 키우는 조절 능력, 공부하는 뇌의 기초공사 Chap 1. 유아에서 아동으로, 새로운 문을 여는 시기 -새로운 발달이 시작되는 4~7세 -공부 잘하는 뇌를 만든다는 것 -공부력은 4~7세의 조절 능력에서 싹튼다 Chap 2. 마음껏 내달려야 발달하는 뇌 -아이의 뇌는 자기에게 가장 맞는 방법을 선택한다 -놀이하는 뇌가 참아내는 뇌를 만든다 -뇌과학적으로, 공부 잘하려면 실컷 놀아야 한다 Chap 3. 학령기를 단단하게 맞이하려면 -‘처음학교’ 앞두고 조급해지는 부모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아이’의 기질 이해하기 -아이마다 뇌의 발달이 요구하는 환경은 다르다 -적응의 문제가 아니라 환경의 문제가 아닌지 살펴야 -아이의 반항은 방향이 틀렸다는 사인 Part 2. 4~7세에 키우는 정서 지능, 공부하고 싶은 마음 그릇 Chap 4. 배우고 싶은 마음, 공부 동기 -흔들리며 발달하는 사춘기 예고편, 4~7세 -정서적 안정감으로 만드는 공부 동기 -아이의 정서 지능을 위한 부모의 미션 -평생 쓸 유대감 마일리지를 최대로 끌어올릴 황금기 Chap 5. 내 마음을 다루는 능력, 정서 지능 -조절 능력과 정서 지능을 주도하는 뇌의 핵심, 전두엽 -아이 마음을 읽어 주며 긍정 회로를 강화할 기회 -마음을 금방 드러내는 아이들, 놀이가 치료가 되는 이유 Chap 6. 정서 지능이 학습 능력을 키운다 -탐구하고 싶은 호기심, 칭찬받아 온 경험이 만드는 학습 능력 -상상하는 아이들에게 팩트 체크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 -내향적인 아이가 공부에 유리하다? -성공적인 엄마표 학습 vs 실패하는 엄마표 학습 Part 3. 조절 능력과 정서 지능을 만드는 좌절을 견디는 힘 Chap 7. 학습의 시작은 공감 능력 -문해력은 소통하는 능력에서 시작된다 -배려를 강요하면 가식적인 아이로 자란다 -이해, 존중, 논리의 총집합 = 규칙 정하기 Chap 8. 피할 수 없는 경쟁 사회를 잘 지나는 힘, 승부욕 -‘넌 다 잘할 수 있어’는 답이 아니다 -잘 이기고 잘 지는 아이로 키우는 법 -공격성, 욕구를 다루는 훈련이 필요한 아이들 -회피성, 승부에 의욕을 보이지 않는 아이 -자녀의 실패를 대하는 부모, 스스로 점검할 것들 -양육에 꼭 필요한 것, 자신감과 여유 Chap 9. 넘어져도 다시 해내는 힘, 회복탄력성 -팬데믹 위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떠오른 회복탄력성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힘의 원천, 생각 습관 -4~7세에 싹이 트는 자아신뢰감과 자아존중감 -자녀의 거짓말을 대하는 훈육의 실수 Part 4. 습관과 몰입으로 만드는 효율적인 뇌 Chap 10. 에너지(or효율)를 최적화하는 정리하는 뇌 -두뇌 최적화의 시작, 습관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