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추천의 말 머리말 - 통계 밖의 생존자, 나와 당신에게 1 기억들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 치료하기로 마음먹은 이유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한 이야기 트라우마라는 이름의 애도 o 초롱의 일기: 언니에게 내가 좀 징그러운 인간인 것 같아요 o 초롱의 일기: 지금도 창피하다고 생각하세요? 나였어도 그랬다 o 초롱의 일기: 관점을 다음번으로 바꿔볼까요 다행이라는 말은 하지 말아요 o 초롱의 일기: 놀러 갔다가 죽은 걸 뭐 그러느냐는 사람에게 분노가 시작되었다 o 초롱의 일기: 세상이 너무 무섭습니다 진짜 어른을 찾는 아이들 o 초롱의 일기: 사과하고, 사과받고 싶었습니다 도대체 언제 괜찮아져요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2 눈빛 처음이자 마지막 애도 당신은 신이 아니다 o 초롱의 일기: 이제 그만 인정해주세요 왜 저는 가벼워지지 않는 걸까요 o 초롱의 일기: 조금 덜, 외로웠으면 좋겠다 나에게는 잘못이 없다 가족이라는 이름의 무게 9시 뉴스에 나오던 날 올해도 이태원에 갈 겁니다 o 초롱의 일기: 생존자인 저는, 내년에도 이태원에 갈 겁니다 그래, 나 어설프다 o 초롱의 일기: 10.29 이태원 참사 국회 추모제 발언 전문 이해받지 못한 자들의 나라 3 슬픔의 방문 그렇게 우울증이 시작됐다 우울증은 슬픈 게 아니다 선생님, 아무래도 저는 망한 것 같아요 있잖아. 할머니, 보고 싶어 "누구나 재난을 겪을 수 있습니다" 초롱에게 5개월, 50개월 시청률 절정의 드라마 주인공처럼 그런데 자살이 나쁜 건가요 보고 싶은 선생님께 4 너와 내가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 파란 눈의 그들이 한국으로 왔다 사회적 학대 편견과 싸우는 중입니다 우울증이지만 명랑한 년이에요 해가 뜨는 써니 하우스 진짜 사랑이 필요한 건, 결국 어른일 거야 내 슬픔에 안녕을 고한다 맺음말 - 고통, 예고 없이 찾아온 친구 부록 생존자 그리고 유가족의 짧은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