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미워할 수 없는 악당 악당을 뜻하는 영어 단어 ‘빌런’(villain)의 어원은 중세 라틴어의 ‘빌라누스’(villanus)다. 시골 농장(villa)에서 일하는 농부를 가리켰던 이 단어는 농부들이 귀족에게 핍박과 차별을 받은 끝에 폭동을 일으키면서 현재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귀족들의 눈에는 농기구를 휘두르는 농부들이 무뢰배로 비쳤을 것이다. 반면 다른 서민들에게는 용감한 투사로 보였을 터다. ‘빌런’ 공모전으로 찾고자 한 빌런 또한 그러한 캐릭터다. 서늘한 얼굴로 악행을 저지르는데도 어쩐지 미워할 수 없는 존재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하여 《빌런》은 악당이 어떤 사연을 안고 있는지, 그가 무엇을 수호하고 파괴하는지, 그를 지켜보는 이들이 어떤 면모를 응원하거나 비난하는지 추적하면서 우리 사회와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작품집이 되었다. 한계와 모순을 부수는 악행 《빌런》의 주인공들을 움직이는 스위치는 시대의 부조리와 인간의 딜레마다. 〈샐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WHEN SALLY MET SALLY)〉에서는 모든 것을 기억하는 자와 원하는 기억만을 갖는 자가 각자의 행복론을 내세워 첨예하게 대립하는데, 그 사이로 고통을 말끔히 지우지도 고스란히 안지도 못하는 보통의 삶이 비친다. 두 사람의 대치 국면은 특정한 과학기술을 만인에게 적용하는 일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한다. 〈수정궁의 유령〉의 빌런은 가상 세계가 그저 ‘가상’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말한다. 현실에서 풀 수 없는 욕망을 가상 공간에 쏟아 낸다면, 엄연히 현실 속에 존재하는 그 공간은 무분별한 발산에 대한 청구서를 내밀 것이다. 〈우세계는 희망〉 속 빌런은 스타 시스템이 증폭시키는 환희와 좌절의 한복판에 있다. 아름다움을 향한 그의 열망은 영원한 아름다움이란 없고 타인을 소유하기란 불가능하다는 보편적인 비극에 저항하면서 극한으로 치닫는다. 〈치킨 게임〉의 기상천외한 빌런은 지성체가 지닌 오만과 편견의 어리석음을 통렬하게 비판한다. 그는 뒤통수가 얼얼해지는 반전을 기획해, 자신의 우월성을 확고하게 믿는 한 눈앞의 상황조차 제대로 볼 수 없다는 메시지를 또렷하게 전한다. 〈송곳니〉의 주인공 또한 인간의 오만을 좌시하지 않는다. 쾌락을 위해 인간 외 존재를 쉽게 이용하고 버리는 인간의 모습을 너무도 잘 알기에 그는 선뜻 성악설에 한 표를 던진다. 해피 엔딩의 반대편을 향한 질주 빌런에게는 지키고자 하는 가치가 있다. 히어로 또한 신념을 위해 움직이지만, 빌런은 다른 존재의 희생을 거리낌 없이 요구한다는 점에서 히어로와 구별된다. 〈송곳니〉에서 수기는 “개는 사람을 위해 죽는데 사람은 개를 위해 죽으면 안 돼?”라고 묻는다. 타인에게 인정받기 어려운 방법론이다. 그러나 빌런에게 인정 따위는 중요치 않다. 어쩌면 악당이야말로 얻고자 한다면 잃어야 한다는 세계의 법칙을 누구보다 깊게 수긍하는 자일지도 모른다. 빌런의 이야기에 해피 엔딩이란 없다. 그는 성공함으로써 한 세계를 파멸시키거나, 실패함으로써 보편 윤리에 맞선 대가를 치른다. 그럼에도 원하는 바를 향해 돌진하는 그들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저 옛날 빌런이 된 농부를 응원한 이들이 품었을 은밀한 통쾌함이 느껴진다. 이야기의 장르가 스릴러나 호러가 되어도 겁먹기는커녕 서사를 시원스레 주도해 나가는 악당들이, 이 책 《빌런》에 모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