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에서 데리다까지

한국도가철학회
44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3.3
平均評価
(2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서양의 형이상학과 동양의 도덕론, 동서양의 중심을 관통해 온 주류적 사상은 이제 위기에 직면하였다. 중심이 붕괴되었을 때 그 대안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이 책에서는 주변으로 눈을 돌린다. 헤라클레이토스로부터, 그리고 노자로부터 시작된 자연주의의 전통이 그것. 그러나 이 자연주의의 '자연'은 단순히 인간에 대비되는 '자연'(nature)이나 '자연물'의 자연이 아니다. '스스로 그러함'이라는 의미의 자연(自然), 모든 인위적 조작이나 작위의 흔적을 거부하는 무위(無爲)의 자연이다. 이 책에서는 노자의 무위와 불언(不言)의 도, 장자의 역설적 사유 등을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후설,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데리다 등의 사유와 비교하면서 도가 철학과 서양 철학의 접점을 찾고 있다. 책은 모두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서설의 성격을 띤 '프롤로그'에서는 도가 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밝히고 오늘날 도가 철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지 그 올바른 독법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손가락과 달'은 노자와 장자의 언어관을 주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에 비추어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존재, 무, 도'와 '해체론의 주변'에서는 '사상(事象) 자체에로'를 표방하는 후설, '존재' 그 자체에 주목하는 하이데거, 현실 세계를 둘러싼 모든 인위적 요소들의 해체를 강조하는 데리다 등이 노장의 사상과 함께 다루어진다. 여기서는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장자의 '만물제동(萬物齊同)','소요유(逍遙遊)' 등이 특히 주목된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著者/訳者

目次

책머리에 프롤로그 도가 사상의 현대적 독법 (김형효) 1. 이중성의 도리와 '얽힘의 평안' 2. 차이와 접목의 의타기성 3. '현'의 사실성과 사실학으로서의 도가 사상 4. 21세기적 견분으로서의 도가 사상 손가락과 달 장자 언어관의 한 해석 (정대현) 1. 언어와 도의 표면적 긴장 2. 대상언어에 대한 장자의 긍정적 관점 3. 갈등해소적 언어관의 모색 4. 상위 언어의 장자적 구성 도와 언어 (이영철) 1. '道可道非常道'의 역설 2. 도를 메타언어적인 것으로 보면 문제가 해결되는가? 3. 도에 대한 노장의 견해 4. 노장의 표상주의적 언어관 5. 문제에 대한 표상주의적 해결과 그 한계:비표상주의적 언어관의 가능성 6. 노장의 비표상주의적 언어관과 문제의 해소 7. 노장적 언어관의 불완전성 과연 우리는 도에 대해서 말할 수 없는가? (김영건) 1. 도와 역설 2. 실재와 내적 체험 3. 표상주의와 지향성 4. 비표상적 사유와 전체성 5. 상상력과 도덕적 실천 존재.무.도 후설의 현상학적 의식에 대한 노자의 도심적 해석 (여종현) 1. 동서양 사유의 특질 2. 현상학적 내면성과 거기에 이르는 후설의 도정들 3. 현상학적 내면성의 의미 및 후설의 한계 4. 초월론적 현상학적 내면성의 도심적 해석 5. 결론 노자와 하이데거의 '피지스-사유' (윤병렬) 1. 들어가는 말 2. 과학 기술 문명과 형이상학에 의한 니하릴즘 3. 형이상학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기 4. 피지스의 세계 5. 피지스와 도의 운동과 향존성 노자의 도 사유와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 휴머니즘의 탈형이상학적 정초 (여종현) 1. 서론 2. 탈형이상학의 텍스트로서의 형이상학 3. 형이상학에서 탈형이상학에로 4. 결론 도와 로고스의 철학적 대안 - 하이데거의 동양적 사유 (이진우) 1. 하이데거의 서양중심주의는 동양적 사유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2. 기술 시대의 동.서양 철학적 대결의 역사적 필연성 3. 언어의 경험을 통한 철학적 대결 : 도와 로고스 4. 침묵의 언어와 철학적 대결의 해석학 제유의 우주 - 장자,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이지훈) 1. 유비와 은유 2. 환유 3. 은유와 환유 넘어서기 4. 아는 것을 모르기 5. 제유 6. 제유와 감응 무의 감응 (정세근) 1. 동서의 무 2. 히브라와 헬라 3. 무아와 아트만 4. 무의 쓰임 5. 자연,경지, 조화 그리고 리 6. 감흥의 철학 해체론의 주변 데리다를 통해 본 노장의 사유 문법 (김형효) 1. 노자의 사유 문법 2. 장자의 사유문법 노장과 해체론 - 개방성의 기원에 대하여 (김상환/최진석) 1. 오류의 계보학에서 무명자의 기록으로 -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2. 분.형.명의 삼위일체와 그 바깥 3. 도의 의미 - 개방성의 기원 혹은 어떤 접경적 경제 도와 차연 (박원재) 1. 중심과 주변 2. 데리다로부터 3. 데리다에서 노자로 4. 해체와 선택 사이 해체에서 자연으로 (이승종) 1. 손 / 2. 만남 / 3. 새 / 4. 바람 / 5. 나비 / 6. 헤어짐 / 7. 소 장자와 로티의 잘못된 만남 (황필호) 1. 머리말 2. 로티 철학의 특성 3. 장자 해석에 나타난 오류들 4. 장자의 존재론과 로티의 인식론 5. 존재론과 인식론의 만남 수록 논문 및 필진 소개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