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 人文学
134p
content
評価する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크리스티앙 메츠는 영화만의 고유한 의미작용을 찾아내고자 노력했으며, 연구자 한 개인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를 끝까지 밀어붙였다. 영화기호학의 발전 과정과 메츠의 업적을 크게 네 단계로 분류하고 각 시기의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영화기호학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유익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著者/訳者

目次

01 랑가주로서 영화 02 이미지의 거대 통합체 03 영화의 기표 형식과 의미작용 04 외연과 내포 05 영화에서 동일시 06 상상계와 기표 07 영화에서 환유와 은유 08 영화에서 언표 상황 09 영화에서 초점화 10 주관적 이미지와 소리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크리스티앙 메츠는 영화만의 고유한 의미작용을 찾아내고자 노력했다. ‘영화 랑가주’, ‘영화 기표’, ‘상상적 기표’, ‘언표 상황’ 등의 개념을 통해 연구 활동 초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화의 본질을 사유했다. 그 과정에서 메츠는 1960년대 초기 구조주의의 사유 틀을 넘어 1970년대 말 정신분석학이나 1990년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조우하면서 연구자 한 개인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를 끝까지 밀어붙였다. 이 책은 영화기호학의 발전 과정과 메츠의 업적을 크게 네 단계로 분류하고 각 시기의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영화기호학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유익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本サイトのすべてのコンテンツはWATCHA PEDIAの資産であり、事前の同意なく複製、転載、再配布、引用、クローリング、AI学習、データ収集などに使用することを禁じます。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