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매체란 무엇인가

오세인
60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디지털 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영상매체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용성과 그 효과를 다룬 경험적 연구서. 영상매체의 태동 및 디지털 영상매체의 성장 배경을 전통적 대중매체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함께 검토했고, 영상매체의 수용과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제적 현안을 정리했다.

저자/역자

목차

제1장 영상매체의 연구 1. 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으로서의 영상매체 2. 영상매체연구의 의의 제1장 정리와 연습문제 제2장 영상매체의 이해 1. 영상매체 발전과 사회 변화 1) 대중매체의 발전과 기능 2) 영화에서 인터넷까지 3) 영상매체의 확산:기술경제 패러다임과 대중의 문화적 욕구 충족 2. 디지털 시대와 영상매체의 위상 1) 매체 중심론과 사회 중심론 2) 채널 확장성과 내용 전문성 3) 디지털 영상매체:'사실적 환상' 제2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3장 영상매체의 특성 1. 영상의 개념과 인식 1) 영상의 개념 2) 영상의 지각, 해석, 역할 3) 영상과 커뮤니케이션 2. 영상매체의 특성 1) 매체 언어의 변화 2) 역동성과 복합 감각에의 호소 3) 공간과 시간의 결합 4) 사회적 실재감의 창조 5) 집합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6) 해석 가능성의 향상 3. 텔레비전 영상의 특성 제3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4장 영상매체기술의 사회적 전개 1. 매체기술의 현실화 과정 1) 매체기술과 인간의 상호성 2) 매체기술의 사회화 과정 2. 영상매체기술의 사회적 확장 1) 텔레비전 영상 기술의 발전 2) 영상매체기술의 사회성 3. 수용자 속박과 무한한 잠재성 1) 영상매체기술의 비관성 2) 영상매체기술의 낙관성 제4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5장 디지털 영상매체의 확산 1. 개념과 의의 1) 디지털의 개념 제1: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화 2) 디지털 영상매체의 의미와 성격 2. 분류 1) 전송 채널 2) 최종 단말기 3) 디지털 텔레비전, 멀티미디어 PC, 휴대폰 3. 수용적 특성 1) 이용자 측면 2) 시스템 측면 3) 환경적 측면 166 제5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6장 영상매체와 문화 1. 대중매체와 문화 연구 1) 대중문화의 전개 2) 대중문화의 성격 3) 한국 대중문화 연구의 흐름과 관점 2. 영상매체의 문화 생산 구조와 의미 1) 영상매체와 문화 상품 2) 문화의 생산과 소비 구조 3) 대중문화 생산과 소비의 의미 4) 대중문화와 사회 현상의 순환성 5) 대중문화에서 영상문화로 4. 영상문화의 상징과 정체 5. 영상문화의 가치 1) 영상 콘텐츠, 오락 2) 정보 문화:개인화와 국제화 3) 문화의 동시화, 세계화 4) 영상문화의 이중성 제6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7장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 1. 영상매체의 일상성 2. 매체미학:미적 대상과 미적 체험 1) 매체미학 2) 상품미학 3) 미적 체험의 질 4) 미적 체험의 의미 3. 영상매체의 미학적 요소 1) 시간과 시간 조정:프로세스 이미지 2) 영상의 상황 문맥으로서의 음향;정보 기능과 감성 기능 4.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관찰에서 체험으로 1) 의사 체험 2) 현실 체험의 과정 5. 시뮬라시옹과 스펙타클적 사회로의 진입;현실에서 '구성된 현실'로 1) 객관적 현실과 상징적 현실 2)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 제7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8장 메인 스트림으로서의 영상매체 1. 데이터스피어:권력 기반의 도구에서 대중의 무기로 1) 무한한 영역:매체 공간 2) 대중 선전 시대의 종식 3) 살아 있는 매체:무형의 생물 4) 피드백과 반복 5) 새로운 매체 접근:유연성의 확대와 확장성의 증가 2. 열린 토론 1) 참여 문화의 촉진:텔레비전과 인터넷의 결합 2) 컴퓨터 네트워크:전자적 민중과 현실적 대중의 연결 3. 영상 혁명:대안 매체의 전략적 힘 1) 영상 혁명:MTV 2) 대안(alternative) 매체:캠코더 3) 전략적 힘:게임 4) 메타 매체로서의 틈새:CG, 컴퓨터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제8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9장 바이러스 배양으로서의 영상매체 1. 경험의 대체와 지식의 몰수 1) 경험의 대체와 획일화 2) 과학과 신비의 통일 3) 매체 속성의 불변 4) 형식이 내용에 우선 5) 지식의 소수 집중 2. 생물학적, 심리학적 악영향과 매체 모방의 불행 1) 사고와 신체 운동의 약화 2) 상상력의 퇴화 3) 인위적 영상의 환상 4) 영상 조절 능력의 상실 5) 편견의 확장 3. 본질의 제거와 대중의 소외 1) 아우라의 붕괴 2) 시간과 장소로부터의 분리 3) 극적인 내용에의 집착 4) 몰입과 소외 제9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10장 사회 구조 1. 조직 관계와 권력 관계 1) 디지털 사회의 권력 2) 권력 형태 3) 조직 형태와 통제 양식:자율적 네트워크와 독점적 중앙 집중 4) 권력 구조:집중과 분산 2. 커뮤니케이션 구조:매체 시스템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로 3. 커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