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 서문 | 4 제0장 표기법 | 11 0.1. 외래어 | 13 0.2. 미분 연산자 | 13 0.3. JND | 13 제1장 무거움과 베버 법칙 | 15 1.1. 베버 | 17 1.2. 베버 이전의 부게르부터 베버 이후의 페히너까지 | 18 1.2.1. 부게르와 마송 | 18 1.2.2. 슈타인하일 | 19 1.2.3. 페히너 | 19 제2장 길이와 베버 법칙 | 23 제3장 페히너 법칙을 엄밀하게 유도 | 27 3.1. 베르누이는 어떻게 유도했는가? | 29 3.2. 페히너는 어떻게 유도했는가? | 32 3.3. 베르누이에 대한 페히너의 논평 | 35 3.4. 서스톤은 어떻게 유도했는가? | 36 3.5. 각자의 유도를 비교 | 39 3.5.1. 베르누이 대 페히너 | 39 3.5.2. 베르누이 대 서스톤 | 40 3.6. 링크는 어떻게 유도했는가? | 41 3.7. 마무리 | 42 제4장 소리의 크기와 베버-페히너 법칙 | 47 4.1. 음파 세기에 대한 반응은 소리 크기 | 49 4.2. 음파 세기는 진폭의 제곱에 비례 | 50 제5장 별의 밝기와 베버-페히너 법칙 | 53 5.1. 별의 등급체계의 역사 | 55 5.2. 히파르코스는 베버-페히너 법칙을 최초로 적용했다? | 57 5.3. 허셜과 포그슨 | 60 5.4. 광도 | 61 제6장 소리의 높낮이와 베버-페히너 법칙 | 65 6.1. 페히너 법칙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 67 6.2. 진동수와 음고 | 69 6.2.1. 음파 진동수에 대한 반응은 음고 | 69 6.2.2. 음고와 베버-페히너 법칙 | 69 6.3. 악기에 숨겨진 비밀 | 70 6.3.1. 기본 음악이론 | 71 6.3.2. 사례①: 반음씩 내린 경우 | 72 6.3.3. 사례②: 온음씩 올린 경우 | 74 6.3.4. 베버-페히너 법칙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 76 6.4. 심리음향학 | 77 제7장 색깔과 베버-페히너 법칙 | 81 7.1. 기본 색이론 | 83 7.1.1. 기본 용어 | 83 7.1.2. 색 체계 고안자들 | 85 7.2. 뉴턴 | 86 7.3. 먼셀 | 87 7.4. 오스트발트 | 89 7.4.1. 오스트발트 색 체계의 기본철학 | 90 7.4.2. 오스트발트 색상환 | 90 7.4.3. 오스트발트 색입체 | 91 7.5. 색깔은 빛의 진동수에 대한 반응 | 93 7.6. CIE 색좌표 | 95 제8장 악취와 베버-페히너 법칙 | 99 8.1. 신비로운 화학적 감각 | 101 8.2. 악취와 악취물질 | 102 8.3. 악취 판정 | 104 8.4. 악취물질의 농도와 악취도 | 106 제9장 감상 및 비판 | 109 9.1. 감상 | 111 9.2. 비판 | 112 9.2.1. 제임스 | 112 9.2.2. 스티븐스 | 113 9.2.3. 왓슨 | 113 제10장 정신물리학 | 115 10.1. 베버 법칙 | 118 10.2. 페히너의 로그함수 법칙 | 119 10.3. 스티븐스의 멱함수 법칙 | 122 10.4. 페히너 법칙과 스티븐스 법칙을 비교 | 124 10.5. 스케일링 | 124 제11장 정보이론과의 관계 | 127 11.1. 정보이론 | 129 11.1.1. 정보량 | 129 11.1.2. 정보이론의 응용 | 132 11.2. MIT가 주목한 발상 | 132 11.2.1. 확률은 특별한 종류의 자극이며 정보량은 특별한 종류의 반응이다. | 133 11.2.2. 정보량은 확률의 감소함수이다. | 133 11.2.3. 결론 | 134 제12장 부록 | 137 12.1. 로그함수 | 138 12.2. 멱함수 | 138 12.3. 지수함수 | 138 12.4. 등비수열에 로그를 취하면 등차수열 | 138 12.5. 기하평균에 로그를 취하면 산술평균? | 139 필자가 지금까지 출판한 책들 |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