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트라우마 패러다임 : 역사의 잔해 위에서 벌이는 ‘포르트-다’ 게임 4
1부 트라우마의 재현(불가능성) : 역사, 기억, 증언
1장 · 역사적 트라우마의 재현(불가능성) : 홀로코스트 담론에 대한 비판적 읽기 17
2장 · 트라우마 기억과 증언의 과제 : 프리모 레비의 증언집이 던지는 질문들 74
3장 · 민족의 기원적 분열과 잔여공동체 : 프로이트 모세론의 정치-윤리적 독해 108
4장 · 아우슈비츠의 수치 : 프리모 레비의 증언집을 중심으로 150
5장 · 주체의 복권과 실재의 정치 : 슬라보예 지젝의 정신분석적 맑스주의 182
2부 아메리카와 애도의 과제 : 윌리엄 포크너와 토니 모리슨의 소설작업
6장 · 역사의 트라우마를 말하기 : 포크너의 『압살롬, 압살롬!』 222
7장 · 순수의 이념과 오염의 육체 : 포크너의 『팔월의 빛』 272
8장 · 상상적 순수로의 복귀 : 포크너의 『내려가라 모세야』 312
9장 · 사자(死者)의 요구 : 모리슨의 『빌러비드』 351
10장 · 문학의 고고학, 종족의 역사학 : 모리슨의 소설작업 396
3부 트라우마와 (문화)번역 : 박탈과 이국성의 해방
11장 · 문화번역의 정치성 : 이국성의 해방과 문화적 이웃되기 420
12장 · 문화번역이라는 문제설정 : 비교문화에서 문화번역으로 444
13장 · 번역, 이산 여성주체의 이언어적 받아쓰기 : 테레사 학경 차의 『딕테』 466
14장 · 버려진 아이들의 귀환 : 입양인서사와 박정희 체제 498
수록문 출처 537
참고문헌 539
찾아보기 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