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초판 서문 재판 서문: ‘중국’과 그 ‘근대’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도론導論 제1절 두 가지 중국 서사 및 그 파생 방식 제2절 제국-국가 이원론과 유럽 ‘세계 역사’ 제3절 천리-공리와 역사 제4절 중국의 근대 정체성과 제국의 전환 제1장 천리와 시세 제1절 천리와 유학 도덕 평가 방식의 전환 제2절 예악 공동체와 그 도덕 평가 방식 제3절 한당 혼합 제도와 그 도덕적 이상 제4절 리의 계보와 그 정치성 제5절 천리와 군현제 국가 제6절 천리와 ‘자연의 이세’ 제2장 물(物)의 전환: 이학과 심학 제1절 ‘물’ 범주의 전환 제2절 격물치지론의 내재 논리와 지식 문제 제3절 ‘성즉리’와 물의 자연 제4절 향약, 종법과 주자학 제5절 주자학의 전환과 심학 제6절 차물(此物)과 물(物) 제7절 무(無)·유(有)와 경세 제8절 신제도론, 물의 세계와 이학의 종결 제3장 경(經)과 사(史) (1) 제1절 신예악론과 경학의 성립 제2절 경학의 전환과 변천 제4장 경(經)과 사(史) (2) 제1절 송학 배척과 청대 주자학의 흥망성쇠 제2절 경학, 이학, 그리고 반이학 제3절 ‘육경개사’와 경학고고학 주(注)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