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빵 굽는 시간·가족의 기원

조경란 · 소설
36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2024년 이상문학상 그리고 김승옥문학상을 거머쥔 등단 28년 차 소설가 조경란의 초기 대표작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을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 제33권으로 엮어 선보인다. 『식빵 굽는 시간』은 1996년 제1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으로, 바로 그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갓 데뷔한 신인이었던 작가가 써낸 첫 장편소설이다. 그로부터 3년 후, 두번째 장편소설 『가족의 기원』을 세상에 내놓은 그는, 첫 장편소설에 주어졌던 “독자를 사로잡는 작가 특유의 아우라를 경험케 한다” “‘생략과 속도’의 기법 활용이 탁월하다” “문체가 안정되고 세련돼 있다” 등의 찬사를 새로운 작품으로 다시 한번 체감케 하는 동시에, 첫 장편의 연장선상에서 ‘가족’이라는 존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심화해나갔다. “누가 나를 신세대 작가라고 규정하면 나는 싫어할 것”(문학동네작가상 수상 인터뷰)이라고 답했던 패기 넘치는 신인 시절을 지나, 조경란은 삼십여 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하나의 수식어로 고정되기를 거부하며 작가적 역량을 갱신하는 중이다.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 두 작품은 서른을 앞둔 일인칭 여성 화자가 ‘나’를 둘러싼 세계와 투쟁하고 불화하며 자기 자신을 탐구해가는 여정을 그린다.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의 장정을 입은 두 소설을 다시 그리고 함께 읽는 일은 가족에서 파생한 자아 찾기에 천착해온 작가의 뿌리에서 출발해, 한 소설가가 착실히 축적하고 확장해나간 세계의 지형도를 가늠하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

저자/역자

목차

식빵 굽는 시간 1. 식빵/ 2. 브리오슈/ 3. 크루아상/ 4. 화이트케이크/ 5. 꽃잎/ 6. 창/ 7. 소보로빵/ 8. 소금/ 9. 편지/ 10. 외출/ 11. 사과파이/ 12. 흑백사진/ 13. 동물원/ 14. 크레이프/ 15. 낫/ 16. 다시, 식빵 가족의 기원 변명들/ 거짓말의 여운 속에서/ 식물의 눈/ 저녁의 지도 해설|가족의 ‘양막’을 찢어내고 홀로서기 염승숙(문학평론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제, 혼자가 되어서. 사람들은 모두 걸어가야 한다. 지도라곤 없는 자신만의 삶으로.” 조경란 소설세계의 기원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 두 작품이 만들어내는 경이로운 데칼코마니 2024년 이상문학상 그리고 김승옥문학상을 거머쥔 등단 28년 차 소설가 조경란의 초기 대표작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을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 제33권으로 엮어 선보인다. 『식빵 굽는 시간』은 1996년 제1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으로, 바로 그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갓 데뷔한 신인이었던 작가가 써낸 첫 장편소설이다. 그로부터 3년 후, 두번째 장편소설 『가족의 기원』을 세상에 내놓은 그는, 첫 장편소설에 주어졌던 “독자를 사로잡는 작가 특유의 아우라를 경험케 한다” “‘생략과 속도’의 기법 활용이 탁월하다” “문체가 안정되고 세련돼 있다” 등의 찬사를 새로운 작품으로 다시 한번 체감케 하는 동시에, 첫 장편의 연장선상에서 ‘가족’이라는 존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심화해나갔다. “누가 나를 신세대 작가라고 규정하면 나는 싫어할 것”(문학동네작가상 수상 인터뷰)이라고 답했던 패기 넘치는 신인 시절을 지나, 조경란은 삼십여 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하나의 수식어로 고정되기를 거부하며 작가적 역량을 갱신하는 중이다. 『식빵 굽는 시간』 『가족의 기원』 두 작품은 서른을 앞둔 일인칭 여성 화자가 ‘나’를 둘러싼 세계와 투쟁하고 불화하며 자기 자신을 탐구해가는 여정을 그린다.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의 장정을 입은 두 소설을 다시 그리고 함께 읽는 일은 가족에서 파생한 자아 찾기에 천착해온 작가의 뿌리에서 출발해, 한 소설가가 착실히 축적하고 확장해나간 세계의 지형도를 가늠하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 『식빵 굽는 시간』에는 베이커리 창업을 꿈꾸는 주인공 ‘여진’이 빵을 굽는 장면이 삽화처럼 끼어 있다. 작품 전반에 은은하게 배어 있는 달콤한 빵냄새는 가족을 잃고 홀로 남겨진 ‘여진’의 상황과 대비를 이루며 그 황량한 내면을 부각한다. 그러나 알맞은 온도에 이르렀을 때 부풀어오르는 식빵의 시간처럼, 여진의 쪼그라든 자아 또한 “인생의 불안한 한 시기”(75쪽)를 통과하는 사이 서서히 부피감을 띠게 된다. 『가족의 기원』은 경제적 몰락으로 와해되어가는 가족의 울타리를 벗어나 ‘자기만의 방’을 갖고자 하는 ‘정원’의 이야기를 다룬다. 그가 집을 떠나 머무는 ‘호수장 삼백육호’ ‘한신연립주택 이백팔호’는 안주하지 못하고 떠도는 정원의 처지를 대변하지만, 자신이 의탁하고 있던 대상에 하나씩 이별을 고하는 서사 속에서 언젠가 스스로의 힘으로 서게 될 미래를 예감할 수 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