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대표 서문|…… 5 추천의 글|…… 7 편집인 서문|아놀드 쿠퍼(Arnold M. Cooper) …… 13 서론|거인들 사이를 거닐기-피터 포나기(Peter Fonagy) …… 17 제1장 찰스 브렌너(Charles Brenner) 43 갈등, 타협형성 및 구조이론(Conflict, Compromise Formation, and Structural Theory) 46 제2장 필립 브롬버그(Philip Bromberg) 63 인내심을 가지고 증상들을 가진 환자들과 증상들을 치료하기: 67 수치심, 해리, 및 섭식장애에 대한 성찰들(Treating Patients With Symptoms-and Symptoms With Patience: Reflections on Shame, Dissociation, and Eating Disorders) 제3장 프레드 부시(Fred Busch) 93 “근처에서”: 자아심리학에서 좋은 해석의 측면들과“발달 지체”“( In the Neighborhood”: 96 Aspects of a Good Interpretation and a “Developmental Lag”in Ego Psychology) 제4장 낸시 초도로우(Nancy J. Chodorow) 121 타협형성으로서의 이성애: 성적 발달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에 대한 고찰 127 (Heterosexuality as a Compromise Formation: Reflections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of Sexual Development) 제5장 아놀드 쿠퍼(Arnold M. Cooper) 161 자기애적-피학적 성격(The Narcissistic-Masochistic Character) 163 제6장 로버트 엠데(Robert N. Emde) 191 발달의 근본 양식 활용하기: 공감적 가용성과 치료 작용(Mobilizing Fundamental Modes of Development: Empathic Availability and Therapeutic Action) 194 제7장 로렌스 프리드만(Lawrence Friedman) 224 쇠와 불, 그리고 치료: 다시 도가니로(Ferrum, Ignis, and Medicina: Return to the Crucible) 227 제8장 글렌 가바드(Glen O. Gabbard) 247 자살 환자에 대한 정신분석적 치료의 실패 250 (Miscarriages of Psychoanalytic Treatment With Suicidal Patients) 제9장 아놀드 골드버그(Arnold Goldberg) 271 공감과 판단 사이에서(Between Empathy and Judgment) 274 제10장 제이 그린버그(Jay R. Greenberg) 291 중간태에서의 갈등(Conflict in the Middle Voice) 295 제11장 윌리엄 그로스만(William I. Grossman) 311 환상으로서의 자기: 이론으로서의 환상(The Self as Fantasy: Fantasy as Theory) 313 제12장 어윈 호프만(Irwin Z. Hoffman) 330 정신분석 과정의 의례와 자발성(Ritual and Spontaneity in the Psychoanalytic Process) 334 제13장 씨어도어 제이콥스(Theodore J. Jacobs) 361 환자들에 대한 오인(誤認)과 오도(誤導): 소통, 불통, 역전이 실연에 대한 성찰 364 (On Misreading and Misleading Patients: Some Reflections on Communications, Miscommunications, and Countertransference Enactments) 제14장 주디 캔트로위츠(Judy L. Kantrowitz) 393 외부 관찰자와 환자-분석가 조합에 대한 관점들 397 (The External Observer and the Lens of the Patient-Analyst Match) 제15장 오토 컨버그(Otto F. Kernberg) 415 영어권 정신분석 학파들의 기법적 접근들에서의 최근 발달(Recent Developments in the Technical Approaches of English-Language Psychoanalytic Schools) 418 제16장 에드가 레븐슨(Edgar A. Levenson) 443 독특한 것의 추적: 정신분석적 질문에 관하여 445 (The Pursuit of the Particular: On the Psychoanalytic Inquiry) 제17장 레스터 루보스키(Lester Luborsky) 464 관계패턴 측정: 핵심 갈등관계 주제(A Relationship Pattern Measure: The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 467 제18장 로버트 마이클스(Robert Michels) 483 분석가들의 이론들(Psychoanalysts’Theories) 486 제19장 토마스 옥덴(Thomas H. Ogden) 503 분석적 3자: 정신분석 이론과 기법을 위한 함축들(The Analytic Third: Implications for Psychoanalytic Theory and Technique) 507 제20장 폴 오른스타인(Paul H. Ornstein) 531 지하로부터의 만성적 분노: 그 구조와 치료에 대한 고찰(Chronic Rage From Underground: Reflections on Its Structure and Treatment) 534 제21장 에델 스펙터 퍼슨(Ethel Spector Person) 552 지식과 권위: 대부 환상(Knowledge and Authority: The Godfather Fantasy) 556 제22장 프레드 파인(Fred Pine) 578 정신분석의 4가지 심리학과 임상작업에서 그것들의 위치(The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