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1754년(영조 30년)에 만화(晩華) 유진한(柳振漢)이 판소리 <춘향가(春香歌)>를 듣고 한시(漢詩)로 남긴 <만화본 춘향가(晩華本春香歌)>에 <배비장 타령>이 언급된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로써 늦어도 18세기 중반에는 판소리 <배비장 타령>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1810년 무렵 송만재(宋晩載)가 쓴 <관우희(觀優戱)>와 조재삼(趙在三)이 쓴 ≪송남잡지(松南雜識)≫(1855), 신재효(申在孝)가 쓴 <오섬가(烏蟾歌)> 등에도 <배비장 타령>이 언급되어 있다. <배비장 타령>은 20세기 들어와서 판소리로서 전승은 거의 끊겼다. 고(故) 박동진(朴東鎭) 명창이 가끔 공연했을 뿐 다른 명창들은 거의 공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창극으로는 20세기 들어 여러 번 공연되었고, 현재도 가끔씩 마당극이나 창극으로는 상연되고 있다.
한편 현재 전하는 소설 ≪배비장전≫은 20세기 이후 만들어진 활자본으로 현재 2종의 한글본만 남아 있다. 1916년에 간행된 구활자본 신구서림본(新舊書林本)과 1950년에 간행된 국제문화관본(國際文化館本, 일명 김삼불 교주본)이다.
소설 ≪배비장전≫은 현재 전하는 내용으로 보면 19세기 조선 시대를 반영하고 풍자하는 작품이다. 작품의 전체적인 짜임은 남자가 정절을 잃은 ‘남성 훼절담(男性毁節談)’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안에 작은 삽화들이 들어 있다. 기생이 관리를 농락한 이야기인 ‘기롱설화(妓弄說話)’, 사람이 쌀뒤주 속에 들어간 이야기인 ‘미궤설화(米櫃說話)’, 이를 뽑히는 이야기인 ‘발치설화(拔齒說話)’ 등이 들어 있다. 또 배 비장과 방자가 하는 ‘내기’가 들어 있고, 제주 목사(濟州牧使) 및 관리들과 기생들이 하는 ‘공모(共謀)’도 들어 있다.
≪배비장전≫의 주인공은 배 비장인 것 같지만, 실은 그는 풍자의 대상일 뿐이다. 실제 ≪배비장전≫의 주인공은 애랑이라 할 수 있다. 작품 첫머리가 애랑의 인물 소개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그것을 말해준다. 또 제주 목사 일행이 제주에 도착하여 첫 번째로 보게 된 사건도 애랑이 떠나가는 정 비장을 데리고 노는 장면이다. 또 그 뒤에 펼쳐지는 ≪배비장전≫의 내용도 애랑이 배 비장을 희롱한 사건들이다. 그러니 애랑이야말로 육지에서 온 관리들에 맞서는 제주도의 슬기로운 여성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배비장전≫의 참다운 주인공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국제문화관본’을 원전으로 삼았다.
첫째로 ‘국제문화관본’이 가장 오래된 이본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국제문화관본은 ‘김삼불(金三不) 교주본(校註本)’이라고도 하는데, 예부터 전해오던 원고를 1950년에 김삼불 선생이 손질하여 간행한 이본이다. 그런데 그 원본은 42년 전, 곧 1908년에 박헌옥(朴憲玉) 씨가 전사(轉寫)한 원고라고 적혀 있다. 그렇다면 그 원고는 1908년보다도 더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던 원고를 박헌옥 씨가 베껴 쓴 것이다. 따라서 국제문화관본의 원본은 1800년대의 판소리 사설(辭說)로서 1916년에 간행된 ‘신구서림본’보다 실은 더 오래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는 국제문화관본이 신구서림본보다 더 판소리 창본에 가까워서 사설이 발랄하기 때문이다. 국제문화관본은 판소리 사설체로서 대체로 짧고 가벼우며 생생한 느낌이 든다. 그에 반해 신구서림본은 다소 문어체로, 출판을 염두에 두고 근대적 소설체로 다듬은 흔적이 엿보인다.
김삼불 교주본인 국제문화관본은 다시 1974년에 서울대 정병욱(鄭炳昱) 교수가 조금 손을 보아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재간행한 바 있다. 본 번역서는 그 신구문화사 간행한 ≪배비장전·옹고집전≫을 원전으로 삼되, 문장의 원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표기만 현대어로 옮기며, 오자(誤字)는 바로잡고, 교주가 미상(未詳)으로 되어 있던 것은 빈틈없이 찾아서 모두 밝혀 채워 넣었다. 그래서 ≪배비장전≫의 현대어 교주본으로서 최선본(最善本)을 만들고자 힘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