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관람불가.zip

24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좋은 콘텐츠의 본질은 한 사람'이란 가치를 걸고 탄생한 글로벌콘텐츠랩 <한 사람>의 네 번째 이야기가 세상에 나왔다. 한사람 시리즈는 '한 사람'을 테마로 한 첫 번째 도서 『한 사람이 있다』로 세상의 모든 시작과 끝에 자리한 '한 사람'의 존재를 탐색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두 번째 도서 『상상하는 몸』에서는 장애에 대한 사유를 출발점으로 삼아 변형되고 확장되는 콘텐츠 속의 몸을 탐구하여 콘텐츠 비평과 함께 창작의 영역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했다. 세 번째 도서 『난 매일 밤 넷플릭스를 본다』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를 테마로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은 K-콘텐츠를 비평했다. 전 세계 시청자를 사로잡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에 대한 시선이 담겨 있다. 또한 창작에서는 넷플릭스를 소재로 하며 일상 속 콘텐츠의 의미를 탐구했다. 네 번째 도서 『청소년 관람불가.zip』는 '19금' 콘텐츠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와 숨겨진 본질을 해석하는 비평을 담았다. 19금을 선정성과 폭력성이라는 기준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시대 감성, 사회적 편견, 금기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며 인간 사회의 본질을 탐구한다. 이는 상영 등급이 주는 자극을 넘어 콘텐츠가 다루고 있는 의미에 다가감으로써 현 시대상을 읽어내고, 이후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목차

0부. 19금, 불편하신가요? 드라마 <더 에이트 쇼> 우리는 여전히 ‘을’이다 _김민정 1부. 너도 좋았잖아ㅋ 드라마 <그레이스 앤 프랭키> 섹스가 끝난 후, 우리는 _이미령 드라마 <LTNS> 낭만적 유토피아의 종말 _요안나 드라마 <오피스에서 뭐하Share?> 섹스, 그게 중요한 건가? _김희원 드라마 <알고있지만,> 알고 있지만, 모르고 있는 _성승환 2부. 아무거나 규탄한다! 이것저것 보장하라! 드라마 <길 위의 연인들> 19금으로 말하는 퀴어 정치사 _김은정 영화 <빨강 파랑 어쨌든 찬란> 소년이 닿지 못하는 땅은 없다 _이지우 영화 <색, 계> 삭제된 진심 _국염 영화 <옥희의 영화> ‘청소년관람불가’에 대한 두 가지 시선 _장유솔 3부. 옥??으로 따라와 드라마 <비질란테> ‘선을 넘은’ 히어로의 존재 증명 _이신영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 B와 D사이 카니발리즘 _최다정 드라마 <그녀의 이름은 난노> 벌거벗은 가면무도회 _왕신연 영화 <파이트 클럽> 나아지지 않아 바라지 않는 자들의 왜곡된 투쟁 _천희진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 K-콘텐츠에서의 착한 주먹이 향하는 곳엔 _김윤아 4부.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드라마 <방과 후 전쟁활동> 대한민국 수험생을 위한 애가 _유재영 드라마 <밤이 되었습니다> 고자극 콘텐츠 시장에서 살아남기 _홍다원 영화 <뒤틀린 집> 당신의 집은 안전한가요? _엄홍경 영화 <나를 찾아줘> 에이미의 살인 _서민아 0부. Green을 그린 작자의 zip필 북커버 창작노트 _하선영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글로벌콘텐츠랩 <한 사람>의 네 번째 프로젝트 ‘좋은 콘텐츠의 본질은 한 사람’이란 가치를 걸고 탄생한 글로벌콘텐츠랩 <한 사람>의 네 번째 이야기가 세상에 나왔다. 한사람 시리즈는 ‘한 사람’을 테마로 한 첫 번째 도서 『한 사람이 있다』로 세상의 모든 시작과 끝에 자리한 ‘한 사람’의 존재를 탐색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두 번째 도서 『상상하는 몸』에서는 장애에 대한 사유를 출발점으로 삼아 변형되고 확장되는 콘텐츠 속의 몸을 탐구하여 콘텐츠 비평과 함께 창작의 영역까지 스펙트럼을 확장했다. 세 번째 도서 『난 매일 밤 넷플릭스를 본다』에서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를 테마로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은 K-콘텐츠를 비평했다. 전 세계 시청자를 사로잡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콘텐츠에 대한 시선이 담겨 있다. 또한 창작에서는 넷플릭스를 소재로 하며 일상 속 콘텐츠의 의미를 탐구했다. 네 번째 도서 『청소년 관람불가.zip』는 ‘19금’ 콘텐츠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와 숨겨진 본질을 해석하는 비평을 담았다. 19금을 선정성과 폭력성이라는 기준으로만 보는 것이 아닌 시대 감성, 사회적 편견, 금기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며 인간 사회의 본질을 탐구한다. 이는 상영 등급이 주는 자극을 넘어 콘텐츠가 다루고 있는 의미에 다가감으로써 현 시대상을 읽어내고, 이후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열아홉 명의 작가가 발견한 19금이 건네는 이야기 가끔은 대체 왜 19금 판정을 받았는지 의문스러운 작품이 있다. 반대로 어째서 19금이 아닌 건지 되묻게 되는 경우도 있다. 판정 기준이 모호하다거나 시대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글로벌콘텐츠랩 <한사람>의 네 번째 도서 『청소년 관람불가.zip』에 담긴 글을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문제의 작품들은 잔인하건 잔인하지 않건, 직접적이건 간접적이건 사회적 금기를 건드린다. 『청소년 관람불가.zip』 의 시작을 알리는 김민정은 드라마 <더 에이트쇼>를 통해 선정성과 폭력성을 넘어선 문제의 본질을 다루며, ‘우리는 여전히 을이다’에서 현대 계급 사회 속에서의 두려운 진실을 지적한다. 첫 번째 챕터, ‘너도 좋았잖아ㅋ’에서는 19금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섹스를 다룬 드라마 <그레이스 앤 프랭키>, <LTNS>, <오피스에서 뭐하Share?>, <알고있지만,>을 통해 섹스 그 너머로 보아야 하는 것들에 대해 말한다. 두 번째 챕터, ‘아무거나 규탄한다! 이것저것 보장하라!’에서는 사회·정치적 문제가 콘텐츠 안으로 개입하는 순간을 다룬다. <길 위의 연인들>, <빨강 파랑 어쨌든 찬란>, <색,계>, <옥희의 영화> 네 작품은 각기 다른 이유로 수위에 대해 지적을 한다. 세 번째 챕터, ‘옥땽으로 따라와’에서는 폭력적 욕망이 분출될 때 벌어지는 일들에 대하여 보여준다. <비질란테>, <진격의 거인>, <그녀의 이름은 난노>, <파이트 클럽>, <범죄도시>를 통해 과거와 달라지지 않은 오늘날의 폭력성을 지적하고, 폭력성의 수위에 의문을 표한다. 네 번째 챕터,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에서는 보호받아야 마땅할 최소한의 선이 무너진 세계를 다룬다. <방과 후 전쟁활동>, <밤이 되었습니다>, <뒤틀린 집>, <나를 찾아줘> 네 작품은 보호받지 못한 자들의 생존을 건 핏빛극을 그린다. 수많은 콘텐츠를 접하고 있는 우리에게 19금은 어떤 의미인가. 클릭하지 않고선 참을 수 없는, 군침이 싹 도는 표식인가. 반대로 썸네일조차 보고 싶지 않은 경고 알람인가요.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건 콘텐츠를 다루는 <한 사람>에게 19금은 판도라의 상자였다는 사실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