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양파같은 영화다.
1. 이 좁은 땅의 그리 오래 되지도 않은 나라에 집집마다 제사가 같은 날인 지역이 이렇게도 많다. 이 동네는 1950년 7월 20일이 그 날이다. 할아버지에겐 그 날이 뼈에 사무치는, 자다가도 외치는 시간이다.
2. 아버지는 두부 공장 가업을 잇지 않고 서울 대학으로 갔다가 민주화 운동으로 다리를 전다. 술만 취하면 정신을 잃고 개처럼 되어 버려 외치는 소리들에 그 시간들이 있다.
3. 머리카락 한 올 떨어 뜨리지 않겠다며 꽁꽁 싸매고 위생 환경에서 만들어낸 두부를 외출했다 이제 막 돌아와 털지도 않은 몸으로 들어와 씻지도 않은 손으로 한꼬집 뜯어 먹는 것에서부터 그들의 세대는 다르다. 두부는 훼이크다.
4. 내 자식보다 내 장손. 나를 위해 제사상을 차려 줄 그 장손이 최고인 것은 어느 세대까지일까. 늘 봄처럼 화창 하길 바라며 딸에게 의지하지만 결국 돌고 돌아 겨울같은 아들에게 돌아가는 건 어느 세대까지일까.
5. 가부장제 풍자인척 하지만 그건 또 아니다. 그래서 상상할 수 있는 시놉시스 범위가 아니라 재밌었다. 계속 되는 일련의 사건들이 만들어내는 갈등을 소화해내는 캐릭터들의 방식이 재밌다. 남아있는 식민지 흔적, 남아있는 독재정권과 함께 가부장제 잔재는 언제까지 갈지. 영화는 가족 얘기인 척 이 얘기 저 얘기 잘도 하고 있더라.
6.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장년층 이상의 특정 정서를 비집고 들어가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감정은 감정대로 가장 먼저 생길 것이다.
7. 익스트림 롱샷을 잘 쓴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