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멘트
신상훈남

신상훈남

1 year ago

4.5


content

서울의 봄

영화 ・ 2023

평균 3.9

2023년 11월 09일에 봄

거울 속 비친 전두광 자신의 모습이 어떠했을까 아주 잠깐일지 몰라도 분명 전두광의 표정은 어두웠다. 그의 웃음소리는 분명 ‘억지로’ 내는 듯한 느낌이었고, 모든 걸 다 가졌음에도 ‘군인으로서, 인간으로서’ 자격이 없다는 이태신의 마지막 말 한 마디가 생각났을 것이다. 그는 그 때부터 저주에 걸렸다. 다른 ‘어영부영대던 다른 하나회들과는 달리’ 그는 합리화를 잘 했을 뿐이다. 자신이 저지르고 있는 이 행동이 ‘반란’이라는 걸 알면서, ‘혁명’이라 믿고 싶었을 뿐이다. “밖에 나가보세요. 바뀐 거 하나도 없어. 세상은 그대로야.” 영화 초중반까지는 숨막히는 서스펜스가 빛을 발하지만 중반부터는 개그 요소도 조금씩 들어가고 장군들의 익살스러운 말투들이 흐름을 가볍게 만든다. 비장한 분위기를 환기시키려는 의도가, 꽉 잡고 있던 영화의 힘을 느슨하게 만들어버린 셈. 국방장관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의 무능력함을 강조시키기 위함이라는 건 알겠지만, 헌병감•특전사령관•김오랑 소령 같은 인물은 과하게 ‘정의로워 보이게‘ 그린 반면, 그렇지 않은 인물들에겐 과하게 ‘무능력한 면모’들을 주입시켜 대비하면서 ‘극과 극’을 극명하게 드러내다 보니 몰입이 조금 힘들기도 했다. “누가 그딴 소리를 지껄입니까?” “‘누가’가 아니고, ‘왜’ 그런 말이 나오는지 생각해보셔야지.” 이태신 장군의 캐릭터는 ‘정의로워 보임과 동시에 멋있었지만’ 관객들은 그에게 이입하지 못 한다. ‘수도방위사령관’이라는 입장에 섰을 때 자신의 목숨을 내던지고 패배가 확정시 된 전쟁에 나가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서울을 담당하는 사령관이라도 그렇지 왜 저렇게까지 하지’ 싶은 관객들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군인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싸우고 싶어서 싸운 게 아니다. ‘싸워야 해서’ 싸우려고 한 것이다. “우리가 이 나이 먹고 왜 군복 입고 있는지 아시지 않습니까. 싸울 땐 이 악물고 싸워야 하는 군인입니다. 저는 원칙대로 싸우겠습니다. 이기든 지든 상관없습니다.” 신군부 세력은 모든 통신을 도청할 수 있었고, 총동원할 수 있는 인맥도 넓었으며, 핵심 병력인 30, 33 경비단도 조종할 수 있었고, 모든 방면에서 수경사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었기에, 이태신 장군도 자신쪽이 한참은 불리한 전투라는 걸 알았을 것이다. 질 걸 알면서도 물러서지 않았던 그는 광화문을 지나가며 굳건히 서있는 ‘이순신 장군 동상’을 보며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각오는 애저녁에 했어.” [이 영화의 명장면 📽️] 1. 작전 개시 결과를 다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장이라도 무슨 일이 벌어질 것만 같아 서스펜스적 재미가 상당했던 장면. 대통령 재가를 받지 못 해 안절부절하는 전두광이 당장이라도 무슨 일을 저지를 것만 같아 걱정됐지만서도 안 그래도 투덜대고 있는 이태신이 이 사실을 알면 얼마나 격노할지 묘하게 기대되기도 했다. “혁명의 밤은 짧지만 영광은 오래 갈 것이다. 그 영광 이 전두광이가 독식하지 않겠다는 말 믿어주세요.” 2. 육군 본부 행주대교가 뚫리고, 공수부대도 서울에 다 와가는 시점에서 도망치려고만 하는 ‘장군’들의 칭호를 모두 빼앗고 싶었다. 그런 약자들이 있는가 하면, 끝까지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반란군들에게 저항한 사람도 있었다. 특정사령관, 그리고 그 비서실장, 헌병감, 그리고 마지막 이태신 장군. 무기력하게 모든 전선이 뚫리는 것보다, 이렇게 끝까지 최선을 다한 군인들이 있기에, 저 반란군들의 행동이 더욱 몰상식해 보였다. “군사반란 일으킨 놈들을 왜 달래줍니까. 장군님들이 가버리시면 여기는 누가 지킵니까. 제발 정신들 좀 차리십쇼!” 3. 엔딩 이태신은 바리케이드를 넘으며 전두광에게 다가간다. 어떠한 위협도 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두 눈을 똑바로 치켜뜨며 전두광에게 자격이 없다고 말한다. 그것은 심한 욕설도, 모욕도 아니었지만 전두광은 그 말을 듣고, 차를 타지 않고 본부까지 걸어간다. 술을 한 잔 마시고는, 홀로 화장실에 들어간다. 어딘가, 외로워 보였다. ‘혁명’이라고 굳게 믿은 행동 뒤엔, 이유 모를 공허함이 그를 뒤따르고 있는 것만 같았다. 이 장면이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제군들, 마지막으로 부탁 하나 하지. 절대 나를 따라오지 마라.” 찬란했던 서울의 봄은 그렇게 끝이 났다 꽃이 피어야 할 아름다운 계절에 모두를 향기롭게 만들 수 있는 꽃들이 져버렸다. 우리는 이 지나버린 봄에 한탄하면서도 앞으로 다가올 또다른 봄을 준비한다 두 번 다시 ‘서울의 봄’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