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제1장 문학에 나 있는 사상으로의 길 우리는 누구인가란 질문에 답하기 전에│사상으로의 접근│문학 작품 해석을 통한 사 상사의 구성│소설 해석 시 주의해야 할 점들 제2장 해방과 건국 해방 공간 취약국가 제3장 전쟁과 아프레게르 전쟁의 성격 아프레게르 손창섭의 「공휴일」?1952년│황순원의 「소나기」?1953년│황순원의 『카인의 후 예』?1953년│손창섭의 「사연기」?1953년│손창섭의 「비 오는 날」?1953년│손 창섭의 「생활적」?1954년│김동리의 「밀다원 시대」?1955년 제4장 한국인의 부활 되살아나기 손창섭의 「잉여인간」?1958년 9월│손창섭의 「포말의 의지」?1959년 11월│손창 섭의 「혈서」?1955년 1월│손창섭의 「미해결의 장?군소리의 의미」?1955년 6월 │손창섭의 「유실몽」?1956년 3월│손창섭의 「층계의 위치」?1956년 12월│손창 섭의 「소년」?1957년 7월│손창섭의 「치몽」?1957년 7월│손창섭의 「침입자?속 「치몽」」?1958년 3월 부활의 마법 손창섭의 사실주의│장용학의 「요한 시집」?1955년│영겁회귀 생명을 찾아서 손창섭의 「미해결의 장」?1955년 6월│손창섭의 「미소」?1956년 8월│장용학의 「요한 시집」?1955년│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1955년 출발 손창섭의 「유실몽」?1956년 3월│장용학의 「비인탄생」?1956년│송병수의 「쑈리 킴」?1957년│이어령의 『저항의 문학』?1956년│1950년대 중반의 변화들 욕망과 분노 선우휘의 「불꽃」?1957년 7월│장용학의 「역성서설: 비인탄생 제이부」?1958년 3 월│손창섭의 「잡초의 의지」?1958년 8월│손창섭의 「잉여인간」?1958년 9월│ 1950년대 말의 현실 제5장 두 개의 혁명 혁명 전야 이범선의 「오발탄」?1959년 10월│손창섭의 「포말의 의지」?1959년 11월│장용 학의 「현대의 야」?1960년 3월 4·19와 그 성격 4·19가 연 세상 최인훈의 「가면고」?1960년 7월│최인훈의 『광장』?1960년 10월 5·16과 그 성격 5·16이 연 세상 5·16의 첫인상: 김동리의 「등신불」?1961년 11월│최인훈의 「구운몽」?1962년 4월 제6장 역사와 개성의 시대?1960년대 역사와 현재의 발견 최인훈의 『회색인』?1963년 6월│최인훈의 『서유기』?1966년 6월 생명과 개성의 시대 1960년대 한국인의 자아 구조│1960년대 한국인의 정체성│1960년대 한국인의 자 아와 시간과 욕망 제7장 분열과 연합의 시대?1970년대 한국 사회의 분열 서곡: 최인훈의 「하늘의 다리」?1970년│청년의 등장│여성의 등장│노동자, 빈민 계급의 등장│부르주아 계급의 등장 순수와 참회의 시대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1972년│최인호의 『바보들의 행진』?1974년│윤흥길의 「양」?1974년│윤흥길의 「장마」?1976년│전상국의 「아베의 가족들」?1979년 인간을 위한 싸움 황석영의 『장길산』?1974~1984년│최인훈의 「옛날 옛적에 훠이훠이」?1976년│ 윤흥길의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직선과 곡선」, 「날개 또는 수갑」, 「창백한 중년」?1977년│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1978년│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1979년 제8장 투쟁의 시대?1980년대 아마겟돈을 향하여: 전조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1979년│전상국의 「우상의 눈물」?1980년 5·18의 전개와 의미 존엄성을 찾아서 이철용의 『어둠의 자식들』?1981년│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1981년 지성을 찾아서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1982년│최인호의 「고래 사냥」?1984년 정체성 위기 이문열의 『변경』?1986년│이문열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1988년 제9장 근대로의 진입?1990년대 정체성 만들기 하일지의 『경마장 가는 길』?1990년│박일문의 『살아남은 자의 슬픔』?1992년 공동체의 복원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1995년│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1995년 근대로의 진입 시대 구분: 공지영의 『고등어』?1999년 제10장 결론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