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유아론에서 실천으로: 박정일
“나는 훌륭한 생을 살았다”/ 사고의 한계/ 《논리-철학 논고》의 포 / 언어놀이와 가족유사성/ 유아론과 실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생성의 합리성과 비합리성:
문창옥
경계의 철학: 과정철학 또는 유기체철학/ 현실적 존재의 구조 분석/ 현실적 계기의 ‘경험’ 분석/ 현실세계의 ‘변화’ 분석/ 화이트헤드와 현대
과학을 새롭게 사유하다, 토마스 쿤과 과학혁명: 이봉재
《과학혁명의 구조》 이전/ 《과학혁명의 구조》의 주요 내용/ 《과학혁명의 구조》로부터의 혁명/ 《과학혁명의 구조》 이후
존 롤스의 평화를 위한 정의의 철학: 정원섭
평화를 위한 정의/ 《정의론》과 현대 정치철학의 주요 쟁점들/ ‘공정으로서 정의’와 정의의 두 원칙/ 재산소유 민주주의와 복지국가 자본주의/ 왜 정치적 자유주의인가?: 민주적 정당성과 공적 이성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사회의 비판자,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김수정
정감주의와 현대 국가의 등장/ 도덕적 주체와 서사적 통일성/ 자연주의적 목적론과 상호의존성
마이클 왈쩌의 정의로운 전쟁: 정원섭
현실주의 전쟁론/ 정의로운 전쟁론/ 민주적 평화론/ 다원적 평등/ 해석과 사회비판
이분법을 넘어선 힐라리 퍼트남의 새로운 철학: 황희숙
이분법을 넘어서/ 제3의 입장: 내재적 실재론/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넘어서/ 과학주의를 넘어서/ 철학의 쇄신: 일상성과 소통의 철학
리처드 로티, 문화정치로서의 철학: 이유선
트로츠키와 야생란/ 플라톤주의와 서양철학/ 아이러니스트/ 자유주의자
노엄 촘스키의 언어철학과 정치관: 강주헌
촘스키는 철학자인가?/ 촘스키의 언어철학/ 촘스키의 정치관/ 촘스키와 ‘깨어남’/ 촘스키와 지식인 발언/ 표현의 자유는 어떻게 가능한가?
낸시 프레이저의 ‘재분배’와 ‘인정’의 통합: 서유석
재분배에서 인정으로?’/ 인정의 ‘정체성 모델’/ 재분배 과제의 상실/ 문화적 정체성의 물화 문제/ 인정의 ‘지위’ 모델/ 분배의 문제/ 비판적 고찰
프레드릭 제임슨의 역사와 유토피아 공간: 이경덕
생산양식과 역사/ 실재와 문화혁명/ 모더니티와 부르주아 문화혁명/ 모순의 해결과 정치적 무의식/ 해석의 세 지평과 유토피아 공간/ 인식적 지도 그리기
이 책에 나오는 책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