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홈스토리 채널에서 방영한 「하우징 스토리」를 책으로 만나다!
“사람에게 꿈을 더하면 집이 되고, 집에 꿈을 더하면 예술이 된다”
“사람은 집을 짓고, 집은 사람을 짓는다”
‘땅콩 집짓기’로 시작된 집짓기 붐은 여전히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잡지나 신문을 비롯하여 책과 방송까지 모든 미디어에서 삭막한 아파트에 지친 영혼들을 감미롭게 달래주고 있다. 대형서점에 가보면 ‘집짓기’ 매대가 따로 마련되어 있을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정보도 비교적 잘 정리되어 있고, 이미지와 편집도 나무랄 데 없는 책들이다. 그런데 ‘○억 원에 집짓기’, ‘아파트 전세값으로 내 집 갖기’, ‘○○일 만에 집짓기’, ‘○○평 안에 집짓기’라는 식의 책들은 집을 말하면서 여전히 비용과 면적에만 집중되어 있다. 당장이라도 아파트를 때려 부술 기세로 한국의 획일적 주거문화를 비판하며 탈주를 선동하고 나선 책들이 하나같이 새로운 집의 철학에 대해선 언제나 물음표 아니면 말줄임표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흐름출판 생활·예술·에세이 브랜드 ‘마이’에서 출간한《집 더하기 삶》은 「하우징 스토리」라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뤘던 건축가와 건축물을 재구성한 책이다. 이 책은 건축주들이 13명의 건축가를 만나 자신의 꿈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담아냈다. 가족과 함께 주말을 즐기고 싶은 사람, 나만의 작업 공간이 필요한 사람, 인생 후반기를 즐기고 싶은 노부부, 멋진 풍경을 혼자만 차지하는 게 아쉬워 갤러리를 만든 사람까지. 이들은 건축가들에게 각자의 소망과 꿈을 이야기하고, 집짓기를 통해 이를 실현해간다. 또한 이 책은 우리에게 집에서 어떤 시간을 보내고 싶은지, 어떤 추억을 만들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게 하고, 더 나아가 내 삶에 맞는 집을 찾아가게 만든다.
내 삶에 맞는 집을 찾아서
기억은 과거의 시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공간 속에서 오롯해진다
바다가 훤히 보이는 집, 혹은 호숫가 옆에 펼쳐져 있는 집, 능선과 어우러진 집, 공장을 개조한 집, 비탈진 언덕길을 따라 세운 집, 옛 집터의 흔적을 간직한 집, 쪽빛 바다를 품은 집……. 이 책에는 이처럼 여러 가지 형태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집들이 소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도 담겨 있다.
건축가 김인철이 지은 ‘호수로 가는 집’은 사업가의 삶을 접고 자연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는 어느 부부의 꿈을 담은 집이다. 이 부부는 자식들을 모두 결혼시키고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해 고민했다. 답답하고 갑갑하지만 편리성이 뛰어났던 아파트와 도시를 떠나는 것이 말처럼 쉽지 않았다. 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를 깊이 고민한 끝에 도시와 멀어진 곳에 삶의 터를 잡기로 한 것이다.
호수로 가는 집의 주인공 이규익·김을식 부부도 마찬가지였다. 이 부부는 사업가로 승승장구하던 나날을 뒤로하고 전원생활로 과감히 돌아갔다. 춘천시 사북면 가일리, 그야말로 산 넘고 물 건너 굽이굽이 가파른 길을 지나야만 닿을 수 있는 작은 마을. 그들은 광란하는 도시의 불빛마저 굽어 들어오기를 포기한 순수의 자연으로 돌아갔다. (p.23)
건축가 김승회가 지은 ‘여주주택’은 자신을 위한 공간이다. 도시민에게 나만의 작은 작업실이나 별장은 어찌 보면 조금은 사치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에게 꼭 필요한, 자신의 삶을 위한 공간이기에 도시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자신만의 작업실을 만들었다. 그 어느 곳보다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고, 내 한 몸을 편히 뉘이게 할 수 있도록 그에게 딱 맞는 공간으로 설계한 것이다. 이것은 건축가 김승회가 살아가는 방식이고, 여주주택은 그의 삶을 담아놓은 곳이다.
건축가 김승회에게 여주주택은 10년 만에 이뤄낸 꿈이다. 하지만 이 집은 단순히 휴식만을 위한 별장은 아니다. 이 집을 짓기 전에 그는 온전히 혼자일 수 있는 시간과 내면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때면 언제나 강원도에 콘도를 빌렸다. 그렇게 3,4일씩 칩거하면서 작업만 하는 것이다. 사실 일반인들에게는 그 정도의 투자도 놀라울 것이다. 콘도를 빌려 혼자서 일을 하다니! 하지만 이는 그가 살아가는, 혹은 창작의 방식이다. 창조적인 일을 하는 사람에게 물리적·공간적으로 독립된 시간은 필수불가결하다. 내면으로 침잠하는 시간. 건축가 김승회는 그 시간을 위해 이 집을 만들었다.(p.187)
건축가 구만재가 지은 ‘메종 404’도 아이들과 주말을 자연에서 보내고픈 젊은 부부의 소망이 담긴 집이다. 주말 별장이라는 이름이 거창해 보이지만, 아이들에게 흙냄새와 새소리, 그리고 자유로움을 선물하고 싶었기에 큰 욕심을 내었다.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을 고객으로 하는 건축주 부부는 매주 똑같은 고민을 반복하다가 큰 결심을 한다. ‘주말주택을 짓자!’ 어디로 놀러갈지 고민하지 않고 사람들에 치일 걱정 없이 편히 쉬다 올 수 있는 우리 가족만을 위한 집. 그리고 도시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뛰놀 수 있는 집. 아빠는 가족 모두에게 여유와 자연을 선물하기 위해 집을 짓기로 했다.(p.227)
혹자는 ‘돈이 있으니 저렇게 좋은 집을 짓고 살겠지……’라며 좋은 의도로 기획하고 건축한 집을 눈을 흘기며 볼 수도 있지만, 이 집들은 단순히 돈으로만 완성된 것이 아니다.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를 고민한 후, 그들이 원하는 앞으로의 삶을 위한, 그 터전을 만든 것이다. 집들에는 그들의 인생철학이 담겨 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다양한 집들의 모습을 넘어 집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선물한다. 사람의 기억이란 단순히 과거의 시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공간 속에서 오롯해지는 것이다. 그러니 내가 얼마나 풍요로운 삶을 살았는가, 혹은 살고 있는가는 그 집들이 증명해줄 것이다.
한국의 대표 건축가 13인에게 묻다
“건축가가 생각하는 ‘좋은 집’이란 무엇일까”
이 책에는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건축물 1001’에 꼽힌 시경당의 건축가 우경국, 영화 「건축학개론」에 등장한 ‘서연의 집’으로 유명한 건축가 구승회, 200년 종가의 전통을 멋들어지게 계승한 건축가 최홍종 등 한국의 유명한 건축가 13명이 등장한다. 이들에게 ‘건축가들에게 좋은 건축이란?’이라는 공식질문을 던진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13명의 건축가들은 다른 단어로 표현했지만 결국 자연, 가족, 관계, 소통, 여유, 꿈, 행복, 일상…… 이었다. 이러한 단어들을 하나로 표현한다면 결국 ‘삶’일 것이다.
가족을 넘어 이웃, 마을 공동체와 함께하는 집을 지은 ‘지렁이집’의 건축주이자 건축가인 김원기는 이렇게 말한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뻔한’ 집보다는 ‘펀fun한’ 즐거움이 느껴지는 공간이 바로 제가 지향하는 것입니다. 머리에 쥐나듯 어렵고 고상한 예술적 개념보다는 건강한 유머와 위트가 공간을 지배해야 생활에서 기쁨과 행복을 더 많이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요(p.125).” 그의 철학처럼 지렁이집은 지렁이를 모티브로 하여 친환경적이고 유머 넘치는 집으로 완성되었다.
건축가 김승회는 집에 대해 이렇게 정의 내렸다. “집은 주인이 세상의 풍파에 시달려 지친 몸을 부여잡고 돌아왔을 때 따뜻하게 환대해주는 공간이어야 해요. 집이 사람을 온전히 안아줄 때 진정 사람을 위한 집이 되는 거죠(p.185).”
소나무 정원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송정헌의 건축가 최홍종은 4대가 바라는 소망을 설계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집은 쉽고 편안해야 해요. 제아무리 유명한 스타건축가라도 화려한 집을 지어주면서 ‘이렇게 살아야만 해’라고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아요. 약간 투박하고 거칠더라도 집에 사는 사람을 배려해 사용하기 쉽도록 해야겠죠(p.245).”
두 건축가를 비롯한 이 책에 등장하는 건축가들은 모두 집을 설계할 때, 화려한 멋을 더하는 게 아닌 그 집에서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