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랙 캐피털리즘

존 홀러웨이
48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한국어판에 붙이는 서문 5 일본어판 서문 13 이탈리아어판 서문 16 프랑스어판 서문 19 페루 스페인어판 서문 22 1부 부수기 25 1. 부수자. 우리는 부수기를 원한다. 우리는 다른 세계를 창조하기를 원한다. 당장. 이보다 더 평범한 것은 없다. 이보다 더 분명한 것도 없다. 더 이상 단순한 것은 없다. 더 이상 어려운 것도 없다. 26 2. 우리의 방법은 균열의 방법이다. 34 3. 이제 새로운 투쟁의 새로운 언어를 배울 시간이다. 38 2부 균열들:존엄의 반-정치 44 4. 균열들은 아니오에서 시작한다. 아니오에서 존엄이, 부정-과-창조가 자라나온다. 45 5. 균열은, 우리가 다른 유형의 행위를 천명하는, 어떤 공간 혹은 순간의 아주 일상적인 창출이다. 51 6. 균열은 차원들을 부수며, 차원성도 부순다. 59 7. 균열들은 존엄성의 반정치에 대한 탐구이다. 75 3부 불가능성의 가장자리에 있는 균열들 86 8. 존엄은 파괴의 세계에 대항하는 우리의 무기이다. 87 9. 균열은 자본주의의 사회적 종합과 충돌한다. 90 10. 균열들은 불가능성의 가장자리에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실제로 존재한다. 그것들은 움직이면서 존재한다. 존엄은 발 빠른 춤이다. 119 4부 노동의 이중적 성격 132 11.균열들은 다른 행위형식에 대항하는 어떤 행위형식의 반란이다:노동에 대한 행위의 반란 133 12.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자본주의를 엮어짜는 것이다. 138 13.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자본주의의 사회적 종합을 창출하는, 역사적 변형과정이다:시초축적 157 5부 추상노동:거대한 울타리치기 165 14.추상노동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울타리친다. 166 15.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인격화의 과정이며 성격마스크의 창출이고 노동계급의 형성이다. 173 16.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남성 노동자의 창출이며 성의 동질이상화이다.179 17. 행위를 노동으로 추상하는 것은 자연을 객체로서 구성하는 것이다. 187 18.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우리의 행위할-힘의 외부화이며 시민, 정치, 그리고 국가의 창출이다. 194 19.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시간의 동질화이다. 201 20. 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총체성의 창조이다. 209 21.추상노동이 지배한다:행위의 노동으로의 추상은 노동착취에 의해 지탱되는 응집적이고 법칙구속적인 총체성의 창출이다. 215 22. 노동운동은 추상노동의 운동이다. 223 6부 추상노동의 위기 237 23. 추상은 과거일 뿐만 아니라 현재적 과정이기도 하다. 238 24. 구체적 행위는 추상노동을 흘러넘친다. 그것은 추상노동-속에-그것에-대립하며-그것을-넘어 존재한다. 248 25. 행위는 추상노동의 위기이다. 256 26. 노동에 대항하는 행위의 돌파는 우리를 투쟁의 새로운 세계 속으로 던진다. 283 7부 노동에 대항하는 행위:틈새혁명의 멜로디들 289 27. 행위는 총체성, 종합, 가치를 해체한다. 290 28.행위는 성격마스크에 대항하는 숨은 여성의 움직임이다. 우리는 숨은 여성이다. 303 29. 행위는 시간의 동질화를 해체한다. 325 8부 탄생의 시간? 350 30. 우리는 생산력이다:우리의 힘은 행위의 힘이다. 351 31. 우리는 아마도, 자본주의의 위기, 우리의 행위할-힘의 비순응적-넘쳐흐름, 다른 세계의 돌파일 것이다. 357 32. 자본주의를 만들기를 중지하라. 361 33. 375 감사의 말 377 부록공통체를 창조하기와 자본주의를 균열내기 - <공통체>와 <크랙 캐피털리즘> 교차독해와 서한논쟁 / 마이클 하트,존 홀러웨이 후주 411 참고문헌 447 옮긴이 후기 463 인명 찾아보기 474 용어 찾아보기 477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신자유주의 위기, 월가 봉기 1주년, 갈무리 출판사의 네 번째 기획 도서 『크랙 캐피털리즘』은 도서출판 갈무리가 2012년 하반기에 기획한 시리즈의 네 번째 도서로 출간된 책이다. 역사 속에서 점차 사라진 ‘삼림헌장’을 통해 경제적 민주주의의 핵심인 공통권을 복원하는 라인보우의 『마그나카르타 선언』(8월), 월스트리트 점거 운동의 행동방향을 제시하는 네그리와 하트의 『선언』(9월 17일 월가 1주년 출간), 유럽의 재정금융 위기를 분석하여 금융독재에 대한 대항행동을 제안하는 베라르디[비포]의 『봉기』(12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중들의 창조적인 거부들이 자본주의를 균열(크랙)내며 새로운 혁명을 건설한다고 주장하는 홀러웨이의 『크랙 캐피털리즘』(2013년 1월)이 출간되었다. 이 4권의 도서들의 내용은 상호 보완하며, 신자유주의 위기 시대에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깊게 사유하게 한다. 이 책들은 위기와 봉기의 시기에 필요한 역사적 · 철학적 · 사회운동적 통찰을 우리 시대에 제시하고 있다. 유럽과 남미 자율운동의 핵심 사상가 존 홀러웨이의 최신작 존 홀러웨이는 워너 본펠드, 쎄르지오 띠쉴러 등과 함께 “열린 맑스주의” 조류의 대표적 지식인으로, 안또니오 네그리 등 저명한 현대 정치철학자들과 비견되는 국제적 사상가이다. 홀러웨이의 사유는 최근 들어 자율주의적 맑스주의와 공명하는 지점이 넓어지면서 광범한 의미의 “자율주의” 사상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책 『크랙 캐피털리즘』의 부록에는 2012년 3월~12월 온라인 지면을 통해 전개된 마이클 하트와 존 홀러웨이의 서한논쟁이 수록되었다. 이 서한논쟁을 통해 독자들은 홀러웨이의 이론이 현대 정치철학의 지형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보다 넓은 시야에서 조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홀러웨이는 지난 10년 간 전 지구적 정의운동, 대항지구화 운동, 반자본주의 운동에 이론적 영감을 제공해 온 사상가이다. 특히 지난 2002년에 출간된 홀러웨이의 전작 『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Change the World without Taking Power, 조정환 옮김, 갈무리)은 그에게 국제적 명성을 안겨준 책이다. 이 책은 “권력”, “국가장치의 장악”을 혁명으로 생각해 왔던 시대에 종지부를 찍으며 탈근대 시대, 지구화 시대에 가능한 혁명의 방법론은 무엇인지에 관해 전 세계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홀러웨이는 1991년 멕시코로 이주한 이후 사빠띠스따 원주민 운동과 호흡을 같이 하면서, 유럽, 미주 지역, 특히 남미에서 가장 주목 받는 좌파 지식인으로 부상했다. 『크랙 캐피털리즘』 역시 출간된 지 2년 만에 페루, 스페인, 이탈리아, 일본 등에 이미 번역되어 소개된 바 있다. 그는 멕시코 뿌에블라 주에 머물면서 라틴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 사회운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영국의 『가디언』지에 지속적으로 기고하여 유럽의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위기와 멘붕 시대를 넘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 2012년 12월 19일 18대 대선 이후 사람들 사이에는 정치적 패배감과 냉소주의가 확산되었다. 언론, 방송, SNS를 불문하고 사용되는 “멘붕”이라는 용어의 유행이 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대의제도에 깊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심리적 징후이며, 한국의 정치지형을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내부의 미국식 양당간 경쟁으로 협소화하는 정치적 보수주의로 귀결”될지 모른다. 저자는 자기결정력에 기초한 균열들의 형성과 그 합류만이 세상을 바꿀 힘임을 단언함으로써 대의제도에 지친 우리가 다른-행위에 대해 사유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 다른 행위란 자본주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우리의 일상적 움직임들이다. 균열의 방법은 자본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행위’를 하는 것이다. 16세기의 프랑스 이론가이자 『자발적 복종』의 저자 에띠엔느 드 라 보에띠를 인용하면서 홀러웨이는 자본주의를 만들기를 중지하고 이윤추구 논리를 위해 봉사하기를 지금당장 멈추라고 말한다. “지금 당장 멈추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자본주의를 만들고 있는 것이 우리들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힘에 대한 절대적 긍정에서 출발하여, 자본주의가 아닌 다른 무언가를 창조하는 순간들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홀러웨이가 말하는 균열은 광장 점거나 은행을 불태우는 등의 특수한 사건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노래 부르고 싶기 때문에 합창단을 꾸리는 친구들, 환자를 돌보려고 실제로 애쓰는 간호사, 텃밭에서 가능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장노동자 등” 자본주의에 속박된 ‘노동’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로워져 자신이 하고 싶은 일,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는 모든 순간이 ‘균열의 순간들’이다. 이러한 균열들이 증식되고, 네트워킹되고, 균열을 봉합하려는 자본주의의 압력에 맞서 함께 투쟁할 때 자본주의는 우리의 힘을 감당하지 못하고 조각조각 해체될 것이다. 우리는 자본주의를 균열시키고 있다. 균열의 순간들은 늘 우리와 가까이 있다. 홀러웨이에 의하면 우리가 자본주의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는 ‘노동’은 균열들로 가득하다. 그렇기 때문에 균열의 방법론이란 갈등적인 상태로 잠복해 있는 ‘행위’를 현실화하는 것이다. 홀러웨이는 이러한 주장을 하기 위해 칼 맑스의 ‘노동의 이중성’에 대한 분석을 부각시킨다. 맑스는 노동 속에 자본의 논리에 귀속된 ‘추상노동’과 창조적이고 목적의식적인 행위(맑스의 용어로 ‘구체노동’ 혹은 ‘유용노동’) 사이의 갈등이 있음을 분석했다. 교사들은 “잘 가르치는 것과 등급매기기 혹은 필요한 대학원생의 수를 확보하기” 사이에서 갈등을 느낀다. 목수들은 “좋은 테이블을 만들기와 팔릴 상품을 생산하기” 사이에서 늘 긴장하며 살아간다. 콜센터 노동자는 “전화로 누군가와 다정한 담소를 나눌 가능성과 직업기율” 사이에서 요동한다. 자본주의 위기가 심화될수록 자본은 우리들에게 매순간 이러한 긴장 속에서 선택을 하도록 강요한다. 존엄을 포기할 것이냐, 내 마음속 목소리에 귀 기울일 것이냐. 이를 홀러웨이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이러한 긴장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활동을 추상노동의 요구에 종속시키는 것을 거부하도록, 그것을 돈의 요구에서 해방시킬 방법을 찾도록 이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으로 살아가며 느끼는 모든 순간의 긴장들을 홀러웨이는 예리하게 포착하여, 그것을 추상과 구체의 긴장으로, 자본주의 논리와 공통화 논리 간의 갈등으로 이론화한다. 결국 『크랙 캐피털리즘』에서는 우리 삶 전체가 자본주의를 깨트릴 균열이 우글대는 우범지대로 새롭게 조망된다. 『크랙 캐피털리즘』 속 균열과 행위에 대한 통찰들! 우리가 이미 행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 우리는 자본주의를 균열시키고 있다.……우리는 반란의 공간들과 순간들을 만들어 내면서 그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을 다른 형식들을, 새로운 세계의 가능한 기초들을 창출하고 있다.……그것들 모두는 실험이다. 모든 것은 물으면서 걷기이다. 앞으로 나아갈 다른 길은 없다. ― 「한국어판에 붙이는 서문」 균열은 지금여기에서의 불복종이지 미래를 위한 기투가 아니다. 그것은 ‘혁명 이후에 우리의 삶은 자본에 종속되지 않을 것이야’가 아니라 ‘지금여기에서 우리는 우리의 활동을 자본의 지배에 종속시키기를 거부한다, 우리는 뭔가 다른 것을 할 수 있고 또 할 것이고 또 하고 있다’이다. ― 「5. 균열은, 우리가 다른 유형의 행위를 천명하는, 어떤 공간 혹은 순간의 아주 일상적인 창출이다.」 우리는 도로의 균열들이며, 도로를 뚫고 올라오는 잡초들이다. 차가운 세계에서 우리는,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균열들을 창출하면서, 얼음을 비추는 태양이다. 안 그런가? ― 「10. 균열들은 불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