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권 《국제 관계의 변동으로 읽는 동아시아의 역사》
1장 : 서양에 의한 충격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동요
1. 17세기 동아시아의 정치변동과 지역질서
한·중·일 3국의 전쟁과 정치변동
동아시아로 밀려든 ‘대항해’의 물결
명·청 교체와 동아시아 지역질서의 변화
<칼럼> 동아시아 지역의 책봉-조공 관계
<칼럼> 전근대의 류큐
2.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
아편전쟁과 난징조약
페리 함대와 일본 개국
서구 열강의 조선 침략
3. 서양에 대한 동아시아의 대응
총리각국사무아문과 양무운동
존왕양이운동과 메이지유신
고종 친정과 대외 정책의 변화
<칼럼> 한·중·일 3국의 ‘만국공법’ 인식
4. 동요하는 동아시아 내부 질서
청일수호조규의 체결과 새로운 중·일 관계
일본의 타이완 침공과 류큐 병합
강화도 사건과 조일수호조규
2장 :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전통질서의 해체
1. 1880년대의 동아시아의 변동과 조선 문제
동아시아의 변동
임오군란을 둘러싼 3국의 관계
갑신정변과 서구 열강의 개입
불평등 조약과 조약 개정 문제
<칼럼> 조약 체제와 치외법권
2. 청일전쟁의 원인과 과정
전쟁 전야의 동아시아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의 출병
청·일 공동 개혁 제안
조선 왕궁 점령 사건
청일전쟁의 전개
조선 농민군의 항일투쟁과 갑오개혁
<칼럼> 일본의 대륙정책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시모노세키조약과 3국 관계
청·일의 시모노세키조약
랴오둥 반도의 할양과 3국간섭
청의 타이완 할양과 일본의 타이완 침략전쟁
청일통상항해조약
청일전쟁이 조선에 미친 영향
<칼럼> 청의 조선 정책
3장 : 열강의 동아시아 패권 쟁탈과 러일전쟁
1. 청일전쟁 후 열강의 경쟁 구도 변화
서구 열강의 중국 분할과 일본
조선에서 러·일의 대립과 협상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의화단운동과 8개국 연합군의 중국 침략전쟁
<칼럼> 국제정치와 조선 중립화 구상
2. 러일전쟁의 원인과 결과
영일동맹
중·러 ‘동3성환부조약’과 러일전쟁의 발발
한일의정서와 한일협약
러일전쟁에 따른 한·중·일 민중의 피해
3. 포츠머스조약과 동아시아
서구 열강과 포츠머스조약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을사조약과 정미7조약
만주에서 일본이 빼앗은 권익
4. 동아시아 내부의 대격변
한국의 항일의병운동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
중국의 헌정 개혁과 신해혁명
<칼럼> 아주화친회
4장 : 제1차 세계대전과 워싱턴 체제
1. 제1차 세계대전과 ‘21개조 요구’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일본
중국 침략의 교두보, ‘21개조 요구’
중국을 둘러싼 열강의 각축과 남북 대립
러시아혁명과 시베리아 간섭전쟁
<칼럼> 몽골의 독립
2. 대전의 종결, 동아시아의 민족운동, 간섭전쟁의 확대
승전국의 이해관계를 조정한 파리강화회의
거족적인 항일투쟁, 3·1운동
거국적인 항일궐기, 5·4운동
1919년, 동아시아를 휩쓴 반제국주의 물결
일본의 간섭전쟁 지속과 그에 대한 저항
<칼럼> 3·1운동과 일본의 식민지 운영 방식 전환
3. 워싱턴 체제의 형성과 균열
열강의 세력 다툼을 잠시 잠재운 워싱턴회의
워싱턴회의에 대항한 극동민족대회
한·중·일에 등장한 공산당, 동아시아 정세의 새로운 변수
제1차 국공합작
워싱턴 체제를 뒤흔든 북벌과 일본의 산둥 침략
<칼럼> 워싱턴회의를 바라보는 한·중·일 3국의 시선
5장 : 제2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1. 일본의 중국 동북 침략과 국제사회
부전조약에서 만주사변까지
국제연맹의 대응과 만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