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헌시 / 감사의 글 / 추천사 서론 1부 전투의 생리: 전투 중인 사람의 몸에는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1 전투: 인간의 보편적 공포증 2 전투의 가혹한 현실: 해외 참전 용사 협회에서 듣지 못하는 사실 3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몸속의 전투·정비 부대 4 공포, 생리적 각성, 그리고 능률: 컨디션 화이트·옐로·레드·그레이·블랙 2부 전투 상황에서의 지각 왜곡: 변화된 의식 상태 1 눈과 귀: 스트레스성 난청, 소리 증폭, 터널 시야 2 오토파일럿: “정말 저도 모르게 일이 벌어졌습니다” 3 전투 중에 경험하는 여러 현상: 시각적 선명도 향상, 슬로모션타임, 일시적 마비, 해리 현상, 간섭적 잡념 4 기억 상실, 기억 왜곡, 그리고 현장 촬영: 사건이 벌어졌다고 100퍼센트 확신하는가? 5 클링어 연구: 지각 왜곡에 관한 평행 연구 3부 전투에 나서는 전사: 어디서 그런 사람을 구하나? 1 살인 기계: 소수의 진정한 전사들이 미치는 영향 2 스트레스 예방 접종과 공포: 비참한 상황에 처하는 훈련 3 총에 맞고도 계속 싸우기: 죽음에 임박해서야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안다 4 살인하기로 마음먹기: “누군가를 죽였지만 다른 사람이 살았다” 5 방패를 든 오늘날의 팔라딘: “가서 스파르타인들에게 전해 주오” 6 전투의 진화: 살인을 가능하게 하는 신체적·정신적인 지렛대 7 전투의 진화와 미국 내 폭력 범죄의 진화 4부 전투의 대가: 연기가 걷히고 난 뒤 1 안도, 자책, 그리고 그 밖의 감정: “제가 알던 세상이 뒤죽박죽되었습니다” 2 스트레스, 불확실성, 그리고 중뇌의 네 가지 기능: 유비무환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재경험하기 그리고 강아지로부터 달아나기 4 치유할 시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에서 위기 상황 디브리핑의 역할 5 전술 호흡과 디브리핑 방법: 기억에서 감정 분리하기 6 참전 용사와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건넬 말 7 살인하지 말지어다?: 살인에 대한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점 8 생존자 죄책감: 복수가 아닌 정의 그리고 죽음이 아닌 삶 결론 부록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