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플라톤의 동굴에서 빠져나오기 - 인간의 유일한 희망 제1부 동굴 벽에 비친 그림자들 - 대상화의 다양한 얼굴들 1장 들어가며 2장 대상화: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복합적 개념” 3장 대상화에 대한 재조명: 오해의 스펙트럼 제2부 인간이 처한 상황 - 한계와 가능성 4장 고대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 가지 관점: 영원의 철학 5장 합일의식: 가장 심오한 수준의 실재 제3부 인간은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 대상화에 기여하는 기질적 요인 6장 언어를 비롯한 경계의 역설적 속성 7장 자아의 경계 8장 나르시시즘 9장 자아(1): 자아의 본질과 양상 10장 자아(2): 소유냐 존재냐 11장 죽음의 부정에서 파생하는 문제들 제4부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대상화에 기여하는 상황적 요인 12장 상황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제고 13장 상황이 유발한 대상화: 세 가지 고전적 사례 14장 상황이 유발한 영웅주의: 일시적인 대상화 초월 제5부 변화를 향해 나아가는 길 - 플라톤의 동굴 출구로 이어지는 길 15장 깨달음의 문제 16장 대상화 초월을 위한 유신론적·비신론적 접근법 17장 대상화에 대한 해독제: 깨달음의 스펙트럼 부록 / 감사의 말 / 주 / 옮긴이의 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