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사회 등진 자본주의, 사회재생산 접은 친밀성 제1부 가족자유주의 제1장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1. 들어가며 2. 자유주의의 다양성: 개인자유주의, 가족자유주의 3. 사회재생산,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4. 사회재생산 회피: 가족자유주의자들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 제2장 ‘위험가족’ 시대의 개인.가족.사회 관계 1. 개인화? 혹은 개인주의화? 2. 한국인들의 가족주의: 이념적.제도적.상황적 구성 3. 개인생애단계와 가족생활주기의 탈구 제2부 생활세계, 인구동태, 사회재생산 제3장 신전통주의 근대가족(혼인)의 위기 1. 서 론 2. 신전통주의 근대성: 한국의 유교적 가족문화와 젠더 3. 신전통주의 근대가족: 서구 경험과의 비교 4. 신전통주의 근대성, 가족자유주의, 개발자유주의: 젠더체계의 정치경제 5. 탈개발시대 여성과 자유주의 근대화: ‘시집가기’ 결혼의 종언? 6. 전망 제4장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1. 서 론 2. 자본주의와 가족주의 근대성 3. 가족주의 질서의 역설: 위험 관리로서의 ‘탈가족화’와 ‘개인화’ 4. 개발시대, 위험(회피)시대, 사회재생산 5. 국가주의적.가족주의적.개인주의적 사회재생산: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제5장 노인의 무(無)개인주의 개인화 1. 서 론: 노인성 구성의 다양성과 유동성 2. 이념적, 제도적, 상황적 개인화 3. 노인의 개인화 실태: 거주 형태, 직업.소득 실태, 여가.문화 활동 4. 개인화로서의 노인 자살 5. ‘신세대’로서의 노인과 개인화: 사회재생산적 함의 제3부 생산체제, 계급실태, 사회재생산 제6장 농가 재생산체계의 붕괴와 혼인 세계화 1. 서 론 2. 농가 재생산주기 분포별 변화 3. (혼인 세계화 이전) 농가 재생산주기 단계별 문제 4. 농가 재생산주기 보완전략으로서의 국제결혼 5. 결론과 전망 제7장 남성 노동생애와 가족생활주기의 착종 (최선영.장경섭) 1. 서 론 2. 기존 연구 검토 및 분석방법 3. 생애 노동참여 양상의 성별분화 4. 남성 노동생애의 성격: 직업유동성과 부문 간 이동 5. ‘남성생계부양자’의 직업유동성과 불안정성의 가족 전이 6. 결 론 제8장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와 여성 상용노동 시대 1. 들어가며 2. 한국의 발전전략과 개발가부장제 노동체제 3. 노동 조건 및 일.생활 양립의 실태 4. 결 론 제4부 결 론 제9장 결론과 전망: 가족자유주의의 종언? 1. 들어가며 2. 가족.개인의 자기부과적 구조조정으로서의 사회재생산 회피 3. 비교사회적 평가: 가족자유주의의 세계적 다원성 차 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