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문 6 1부 플랫폼 질서와 커먼즈 위기 1장 데이터사회의 형성과 새로운 인클로저 19 데이터사회의 형성 23 데이터 인클로저 29 포스트휴먼 데이터 주체의 형성 35 데이터 통치술 48 2장 플랫폼자본주의와 커먼즈의 위기 56 플랫폼 장치 61 데이터(은행), 브로커, 알고리즘 63 플랫폼 장치의 주요 특징 72 플랫폼자본주의와 신생 인클로저 78 플랫폼 시대 커먼즈의 구상 93 2부 피지털 커먼즈의 조건 3장 커먼즈, 다른 삶의 직조 102 커먼즈의 실천적 정의 105 커먼즈의 층위 113 비물질계 커먼즈 다시 읽기 117 피지털 커먼즈의 신생 조건 130 4장 공유경제 비판과 도시 커먼즈 145 자원 중개 시장의 탄생 149 공유경제에서 도시 커먼즈로 157 ‘공유도시 서울’의 딜레마 164 공유 정책 모델의 모순과 한계 177 ‘공유도시’에서 ‘커먼즈 도시’로 186 ‘커먼즈 도시’의 정치 위상학 192 3부 문화 커먼즈의 창작 유산 5장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00 퍼블릭도메인의 역사와 한계 204 디지털 복제와 미메시스 문화의 일상화 212 복제와 전유의 문제 217 리믹스와 매시업의 층위 221 카피레프트와 예술 저항 228 파토스의 문화 커먼즈 236 6장 아방가르드와 반인클로저 전통 248 다다의 아방가르드적 유산 253 다다의 반예술과 정치미학 259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267 포토몽타주의 사회 미학적 함의 276 패러디와 문화 커먼즈 281 패러디 미학 287 포토몽타주와 패러디의 동시대성 292 4부 인류세와 생태 커먼즈 7장 ‘인류세’ 지구 커먼즈 297 ‘인류세’ 개념의 출발 301 출구 없는 ‘지구행성’에 매달린 인류 305 ‘탈’인간중심주의가 빠뜨린 것 314 맑스 에콜로지와 ‘자본세’ 320 ‘인류세’ 국면의 포스트휴먼 문제 331 8장 그린 뉴딜과 탈인류세 기획 339 과학기술에 대한 근대주의적 오만 343 기후위기와 테크놀로지의 악무한 347 야만의 테크놀로지에 예속된 타자들 352 급박한 생태 대안, ‘그린 뉴딜’ 실험 356 우리에게 남겨진 선택 364 생태-기술-인간, 공생공락의 관계를 위하여 368 과학기술의 지구 커먼즈적 조건 373 참고문헌 380 인명 찾아보기 393 용어 찾아보기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