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내 이야기의 역사 첫 번째 수업: 오리엔테이션 어떤 식물도 스프링클러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 천재란 무엇인가?|심심하면 소금을 쳐라!|왜 영화인가?|수업의 순서|스토리언 두 번째 수업: 왜 우리에게는 이야기가 필요한가? 「이터널 선샤인」, 티 없는 마음의 영원한 햇살 감정 소모 감정이입|이해 가능한 인물들|그의 입장이 되어|카타르시스 이야기는 인생의 은유다 이야기라는 보조 관념, 삶이라는 원관념|두 관념의 비교를 통해 얻는 통찰 죽음에 대한 준비 여행이란?|죽음의 대비 ∷의미와 상상력을 통한 생물학적 죽음의 초월|죽음의 경험|죽음에 대한 망각 재미란 무엇인가? 감정의 움직임|지혜를 얻는 통찰력(지적 재미)|인지적 놀이|이야기는 우리를 살게 해준다 세 번째 수업: 이야기란 무엇인가? 들어가며 모닥불 옆의 이야기꾼 스토리텔링의 정의|문화 콘텐츠|데이비드 하워드 전달 말과 문자의 시대|회화|로망에 대해|음악|연극|영화|UCC|변화를 두려워하지 말자 정보 진짜 정보와 가짜 정보 의도 설명적 의도와 오락적 의도|실용적 의도와 오락적 의도의 비율 화자 전문적인 화자, 아마추어 화자 수용자 개인적 수용자, 거대 수용자|이야기를 파악하는 다섯 가지 개념 네 번째 수업: 이야기의 시작 들어가며 1단계 한 줄 스토리 쓰기 한 줄 스토리로 요약하는 법|한 줄 스토리 쓰기|로그라인 2단계 주제 정리하기 주제를 끌어내는 세 가지 방법|「빌리 엘리어트」, 「굿 윌 헌팅」 그리고 「본 아이덴티티」의 주제 다섯 번째 수업: 구조의 설계 들어가며 3단계 3장 시놉시스 쓰기 선인과 악인|‘Dran’, 행동하다|시작, 중간, 끝|3장 구조 1장: 스토리의 세계와 주요 인물 소개 티저 사건|공격점|주 긴장의 설정 2장: 욕망의 진행 희망과 공포|중간점|서브플롯 3장: 종결감을 주는 결말 행복한 상투성|여파와 반전|마지막 도전과 만족스러운 결말|예상과 다르게 만족스러운 결말|모든 것은 꿈이었다: 잘못된 결말의 유형들 여섯 번째 수업: 시퀀스 4단계 시퀀스 아웃라인 쓰기 시놉시스를 못 쓰는 작가 시퀀스 첫 번째 시퀀스: 일상 세계|두 번째 시퀀스: 첫 관문의 통과|세 번째 시퀀스: 첫 번째 장애물의 통과|네 번째 시퀀스: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다|다섯 번째 시퀀스: 캐릭터의 이면 탐구와 서브플롯|여섯 번째 시퀀스: 욕망의 결과|일곱 번째 시퀀스: 여파와 반전|여덟 번째 시퀀스: 마지막 대결과 궁극적 해결 실제 스토리 분석 「굿 윌 헌팅」 스토리 분석|「노팅 힐」 스토리 분석 일곱 번째 수업: 장면 5단계 장면 장면: 표면성과 장면성 스텝 아웃라인 하나의 세계로서의 장면 장면 제목|지문|‘커피를 마시는 철수’와 ‘철수, 커피를 마신다’|대사|텍스트와 서브 텍스트|장면의 구조, 욕망의 피라미드 마지막 수업: 캐릭터를 위한 변명 캐릭터, 어떻게 그릴 것인가? 캐릭터에 관한 이론들|캐릭터 중심의 이야기와 구조 중심의 이야기|모호한 캐릭터와 명확한 캐릭터 입체적인 캐릭터를 만드는 방법 자기주장이 강한 현대 여성|캐릭터 윈도우|당신은 당신의 상처입니다|캐릭터를 위한 변명 참고 영화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