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문 1장 서론: 〈때문에〉란 무엇인가? 1. 핵심 질문 2. 유보 사항: 대상으로 삼는 〈때문에〉 개념 3. ‘때문에’ 문장과 인과 문장 4. 〈때문에〉와 설명 5. ‘때문에’ 문장의 사례 고찰 6. 〈때문에〉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의존 이론 7. ‘때문에’ 문장의 맥락 의존성 8. 〈때문에〉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과 개념과 기반 개념을 이해하기 2장 새로운 설명 이론을 향하여: 전통적 이론들은 왜 설명의 조건을 제시할 수 없는가? 1. 설명 이론은 무엇을 다루는가?: 탐구의 과제를 구성하기 2. 의존의 개념으로서의 설명적 유관: 충분조건 이론으로부터 확률적 유관성 이론으로 3. 확률적 이론은 설명적 유관성의 조건을 제시하는가? 3장 설명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 ‘때문에’ 문장의 진리 조건 1. 설명에 대한 확률적 이론에서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으로 2. 설명적 유관성의 반사실 조건문적 분석 3. 의미론적 배경: 반사실 조건문적 분석의 의미론적 보완과 확장 4. 반사실 조건문을 통해 이해된 설명의 맥락의존성 5. 반사실 조건문을 통해 이해된 설명의 경험적 시험가능성 4장 설명 일반에 대한 이론으로서의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 인과적 이론 대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 1. 설명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은 루이스의 이론과 어떻게 다른가? 2. 비인과적 설명들과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 3. 김재권의 문제들 4. 과잉 결정의 문제와 선점의 문제 5. 설명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이 살먼-다우의 이론에 대해서 가지는 우위 6. 부재 인과의 문제 7. 이중 방지의 문제 8. 비이행성의 문제 5장 대조적 설명에 대한 반사실 조건문적 이론: ‘때문에’ 문장에서의 대조와 맥락의존성 1. 대조적 설명 2. 대조적 설명 문장의 진리 조건 3. 대조적 설명과 단순 설명에 대한 기본적 관찰들 4. 대조적 설명에 대한 루이스의 이론과의 비교 5. 루이스의 이론에 대한 립튼의 잘못된 비판 6. 대조적 설명에 대한 립튼의 이론과의 비교 6장 설명의 수용가능성과 적합성 조건: ‘때문에’ 문장의 화용론과 맥락의존성 1. 설명 문장의 화용론적 맥락의존성: 적합성의 일반적 조건 2. 설명 문장의 적합성과 수용가능성의 조건: 첫 번째 조건 3. 설명 문장의 수용가능성의 조건: 두 번째 조건 7장 인과적 설명에 대한 조작가능성 이론: 비판적 고찰 1. 인과적 설명에 대한 우드워드의 조작가능성 이론 2. 유형 인과에 대한 우드워드의 이론의 문제점들 3. 단칭 인과에 대한 우드워드의 이론의 문제점들 4. 우드워드의 개입 개념의 문제점들 5. 인과적 설명에 대한 우드워드의 이론의 문제점들 8장 반사실 조건문적 설명 이론에 대한 비판과 응답 1. 들어가는 말 2. 비인식적 조건으로서의 설명적 유관성의 조건 3. 확률적 설명 이론과 비결정론 4. 반사실 조건문적 설명 이론에 대한 반례들? 5. 완전한 설명의 개념 6. 과학 이론의 변동과 올바른 설명 9장 과정 연결적 인과 이론에 대한 비판 1. 살먼과 다우의 과정 연결적 인과 이론 2. 과정으로 연결되지 않은 인과의 문제 3. 화용론적 설명 4. 화용론적 설명에 대한 다우의 대응의 문제점들 5. 다우의 “유사 인과” 이론에 대한 비판 6. 맺음말: 최소한 이중 방지는 인과의 사례이다 10장 두 종류의 인과 개념 1. 들어가는 말: 두 인과 개념 2. 〈때문〉 인과 개념 3. 과정 인과 개념 11장 형이상학적 설명에서의 ‘때문에’ 문장 1. 들어가는 말 2. 형이상학적 설명의 문제 3. 불가능 세계와 형이상학적 양상에 대한 대안적 제안 4. 반사실 조건문적 의존의 비대칭성에 대한 대안적 제안 5. 형이상학적 설명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6. 형이상학적 설명의 다른 유형들 12장 형이상학적 기반 개념과 〈때문에〉 개념 1. 기반 개념과 〈때문에〉 개념에 대한 분석의 가능성 2. 결정 개념으로서의 기반 개념과 〈때문에〉 개념 3. 기반 개념과 〈때문에〉 개념은 이행적인가? 4. ‘때문에’는 초내포적인가? 5. 기반, 인과, 〈때문에〉 13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