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아동청소년문학과 여성주의 동시와 청소년시의 여성 화자 시대의 소녀들: 창비아동문고 속의 ‘몽실’에서 ‘세라’까지 이제 다시 시작하는 여성 서사: ‘나다움 어린이책’ 선정작을 중심으로 기억과 증언 너머를 말하는 파수꾼 소녀의 몸을 구출하는 법 현실의 퀴어, 퀴어의 현실 최근 어린이청소년 SF에 나타난 여성상 복제인간, 인공지능, 포스트휴먼에 투영된 어린이 SF의 질문들 서사와 이야기, 문자와 이미지 사이에서: 최근의 유년동화 분석 어린이 영웅을 찾아서 제2부 동시,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의 실험실 언젠가는 어린이가 되겠지: ‘해묵은 동시’ 이후의 ‘어린이 인식’ 동물권, 미래의 동시를 엿보는 자리 아이의 눈물이고 거울인: 동시의 말하기 방식 낯익은 새로움, 낯선 낡음: 동시의 실험 엄마라는 타인: 동시의 성인지 감수성 웹툰보다 재미있는 동시: 동시의 상상력 격하게 사랑하고 분노하기: 동시의 감각 착하지 않음의 윤리와 미학: 동시의 윤리 태도가 관계다: 동시의 시선 믿어야 열릴, 뛰어들어야 얻을: 동시의 세계 제3부 이야기로 탄생하는 이야기 한 걸음씩 자박자박 걷는 길: 김소연의 역사동화 십 대들아 모여라, 언니가 이야기를 들려줄게: 김혜정과 십 대의 꿈 꿈 없는 삶에서 꿈 찾기: 김혜정 『잘 먹고 있나요?』 실패한 앙티 오이디푸스: 박지리가 본 소년과 아버지 카인의 후예들: 박지리 『다윈 영의 악의 기원』 아까시를 아카시아로 피우려면: 유은실 『변두리』 상실에 입 맞추는 법: 최상희 『바다, 소녀 혹은 키스』 빛이 사라지면 너에게 갈게: 최양선 『밤을 건너는 소년』 찬란한 패배를 위하여: 진형민 『기호 3번 안석뽕』 공감하는 절망, 반전하는 희망: 김태호 『제후의 선택』 어린이는 항상 이긴다: 차영아 『쿵푸 아니고 똥푸』 나와 즐겁게 놀아 주는 나, 오예 !: 서현 『간질간질』 모든 이민자, 여성, 어린이의 이야기: 베라 브로스골 『내 인생 첫 캠프』 과거에서 온 미래의 이야기: 『한낙원 과학소설 선집』 SF가 이야기하는 ‘어린이’와 그의 ‘세계’ 제4부 되돌이표로 부르는 노래 내 맘에 동시: 최종득 『내 맘처럼』 좋은 시가 싹트는 삶의 자리 하나: 최종득 『쫀드기 쌤 찐드기 쌤』 콩에 담긴 우주, 별자리로 이어진 우리: 정상평 『최우수 작품』 너의 눈엔 무엇이 보이니 박은경: 『진짜 나는 어떤 아이일까』 먹이고, 입히고, 거두고, 지키는 품에 대하여: 안학수 『아주 특별한 손님』 밤에 보이는 소리: 이상교 『찰방찰방 밤을 건너』 주먹이 빛과 향기가 되기까지: 이안 『고양이의 탄생』 고양이에서 동물원까지: 이안 『글자 동물원』을 중심으로 살금살금 다가가고 가만가만 뒷걸음치고: 성명진 『축구부에 들고 싶다』 팝콘 만드는 선생님: 문현식 『팝콘 교실』 작은 존재들의 솟구침: 주미경 『나 쌀벌레야』 오랜만의 리듬, 새로운 편집: 장영복 『똥 밟아 봤어?』 수록글 발표 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