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장 지구지역사 및 동아시아사 시각하의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기존 연구성과 및 연구시각 검토 Ⅰ.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Ⅱ. 새로운 관점의 모색: 지구지역사 및 동아시아사 시각하의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한중관계 Ⅲ. 차례의 구성과 문제 제기 제1장 동아시아 공화혁명으로서의 신해혁명과 한국(1903〜1913) 들어가는 말 제1절 동아시아 공화혁명으로서의 신해혁명 Ⅰ. 청일전쟁 이후 중화제국체제의 와해와 한중관계의 변화 Ⅱ. 중국 공화혁명의 전개와 청조의 멸망 Ⅲ. 공화혁명의 확산-한국과 베트남의 경우 Ⅳ. 변방의 이탈-티베트와 몽골의 경우 제2절 신해혁명과 한국독립운동의 본격화 ―상하이·난징 지역의 초기(1911~1913) 한인 망명자들과 신해혁명 Ⅰ. ‘중국혁명’과 초기 한인 망명자들 Ⅱ. 우창기의와 위안스카이 토벌전쟁에의 참여 Ⅲ. 쑨원·혁명파 인사들과의 교류 제3절 신해혁명에 참여한 한국인들 1 ―김규흥의 광둥廣東에서의 활동 Ⅰ. 중국 망명 이전의 교육구국운동 Ⅱ. 중국 망명과 상하이·난징에서의 활동 Ⅲ. 신해혁명과 광둥군정부에의 참여 Ⅳ. 토원운동과 『향강잡지』의 창간 제4절 신해혁명에 참여한 한국인들 2 ―김병만의 허난河南에서의 활동 Ⅰ. 중국 망명 이전 애국계몽운동과 『민권자치제』 번역 Ⅱ. 중국 망명과 허난행 Ⅲ. 허난·산둥 지역 혁명파 인사들과의 교유 Ⅳ. 신해혁명 이후 허난에서의 활동 나오는 말 제2장 1910년대 동아시아의 반제민족운동과 한중연대의 모색(1914〜1919) 들어가는 말 제1절 제1차 세계대전, 파리강화회의와 동아시아 반제민족운동의 고양 ―신규식·동제사그룹의 중국 내 청원운동과 한중연대의 모색 Ⅰ. 1917년, 종전에의 전망과 강화회의 참여 준비 Ⅱ. 1918년 12월~1919년 1월, 광둥군정부 방문과 청원서 제출 Ⅲ. 1919년 1월~2월, 베이징정부와 미국 공사관에의 청원서 제출 Ⅳ. 강화회의 관련 청원에 대한 중국인들의 호응 제2절 동아시아 반제민족운동으로서의 3·1운동과 5·4운동 Ⅰ. 3·1운동과 5·4운동의 동시성 Ⅱ. 한국문제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 전환 제3절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 지구지역사상의 의미 ―동아시아 지역 민주공화, 반제연대의 출발점 Ⅰ. 근대적 국제도시 상하이 지역의 한인사회 형성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Ⅱ. 상하이 한국임시정부 성립의 동아시아 역사상 의의 나오는 말 제3장 1920년대 동아시아 반제연대와 한중연대의 고양(1920〜1930) 들어가는 말 제1절 임시정부의 워싱턴회의 참석 외교와 중국 ―신규식의 광저우 호법정부 방문과 쑨원 Ⅰ. 신규식 광저우 방문의 배경과 일정 Ⅱ. 임시정부 승인 문제와 쑨원의 입장 제2절 1920~1923년 중한호조사의 성립과 한중연대 활동 Ⅰ. 중한호조사의 성립과정 Ⅱ. 상하이 중한호조총사와 우산, 박은식 제3절 임시정부와 동아시아 반제연대 ―장저우회의(1920년 4~5월)와 한·중·러 사회주의자들의 반제연대 Ⅰ. 임시정부 성립 직후 소비에트러시아·코민테른과의 접촉과 여운형 Ⅱ. 장저우회의와 여운형 제4절 임시정부와 국민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