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의 빛

김미현
376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4.3(8명)
평가하기
4.3
평균 별점
(8명)
현대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한 김미현의 평론집. '젠더'를 둘러싼 열두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한국 문학의 흐름을 되비추었던 <젠더 프리즘> 이후 12년 만에 출간되는 동시대 작품 대상 평론집이다. 2016년 출간된 <번역 트러블>은 문화번역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 작품을 분석한 저서였기에, 동시대 소설에 대한 김미현의 명료하고 재미있는 평론을 기다려 온 독자들에게 이번 평론집 출간 소식은 더 반가울 수밖에 없다. <그림자의 빛>은 주체의 윤리, 잠재성의 문학, 감정 동학과 긍정의 윤리, 세속화와 환속화, 장소와 비장소, 돌봄과 자기서사, 교차성과 억압의 복잡성, 포스트휴먼과 테크노페미니즘, 모성트러블과 모성의 확장 등 21세기 사상의 최전선에 있는 주요한 개념을 바탕으로 2000년대 소설의 형질 변화를 조망한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별점 그래프
평균4.3(8명)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책머리에 1부 21세기 주체의 윤리: 바틀비들의 배달 불능 편지 주체의 궁핍과 ‘손’의 윤리 -주체의 궁핍과 윤리적 폭력 -연대하는 ‘손’과 애도의 불가능성: 정용준, 「안부」 -용서하는 ‘손’과 면목 없음: 김영하, 「아이를 찾습니다」 -치유하는 ‘손’과 박탈의 양가성: 김애란,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포스트맨(Post-Man)’ 시대와 이웃의 윤리 잠재성과 문학의 (불)가능성 -잠재성의 문학과 바틀비의 후예들 -‘중단’과 비잠재성의 잠재성: 박솔뫼, 「안 해」 -‘반복’을 통한 잠재성의 지속: 김사과, 「더 나쁜 쪽으로」 -‘유예’의 잠재성과 탈창조의 글쓰기: 한유주, 「나는 필경……」 -배달 불능 편지의 잠재성과 문학의 미래 감정 동학과 긍정의 윤리 -2000년대 한국 소설의 감정적 전회 -비체의 강화와 감정의 폭발: 최진영, 『구의 증명』 -애도의 번역과 감정의 반복: 김금희, 『경애의 마음』 -고통의 잠재화와 감정의 생성: 황정은, 『계속해보겠습니다』 -감정의 항해와 주체의 윤리 청춘의 역습과 세속화 - 장강명의 청춘 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청춘의 종말, 청춘의 역습 -자살, 세속화와 환속화 사이: 『표백』 -오덕 문화, 놀이 혹은 세속화: 『열광금지, 에바로드』 -탈조선, 탈정체성으로서의 세속화: 『한국이 싫어서』 -호모 프로파누스, 청춘의 세속화 재난소설의 ‘비장소’와 경계 사유 - 편혜영의 재난 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21세기 재난 소설의 공간 전유, 장소상실에서 비장소로 -표류 공간의 이동성, ‘배(船)’라는 비장소: 『재와 빨강』 -미로에서의 환승, ‘숲’을 통과하기: 『서쪽 숲에 갔다』 -공백의 공동체, 비장소의 ‘텅 빔’: 『홀』 -비장소에서의 경계 사유 2부 스틸(Steal) 페미니즘과 스틸(Still) 페미니즘의 교차성 정의에서 돌봄으로, 돌봄에서 자기 돌봄으로 -정의의 타자, 여성 소설의 돌봄 윤리 -공존의 허구성과 의존의 정당성: 김숨,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희생의 자본화와 저항으로서의 자기 서사: 김혜진, 『딸에 대하여』 -평등의 불평등성, 이웃과의 교차성: 구병모, 『네 이웃의 식탁』 -‘다른 목소리’로서의 자기 돌봄 윤리 여성가족로망스의 교차성 - 김이설 소설을 중심으로 -가족로망스에서 여성 가족 로망스로 -어머니와의 미분리와 코라적 모성의 유동성 -아버지 거부하기와 비체화된 여성의 교란성 -딸들의 공동체와 연대의 수평성 -교차로에 서 있는 여성 가족 로망스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여성과 테크노페미니즘 - 윤이형과 김초엽 소설을 중심으로 -반인간주의, 탈인간중심주의, 그리고 여성 -‘지구-되기’와 판도라의 박탈성 -‘모성-되기’와 포스트 바디의 확장성 -‘기계-되기’와 여성 사이보그의 진정성 -테크노페미니즘의 (무)질서와 (불)연속성 모성 트러블과 모성의 확장 - 오정희의 「번제」를 중심으로 -뫼비우스 띠로서의 모성 다시 보기 -전(前)오이디푸스적 어머니와 모성의 미분리성 -광기의 어머니와 모성의 전이성 -가면의 어머니와 모성의 수행성 -모성의 불편함과 정치성 이 노년을 보라 - 박완서의 노년소설 -노년의 영도(零度), 노년이라는 영도 -허무주의의 양극단: 「마른꽃」 -쓸쓸함 혹은 운명애: 「너무도 슬쓸한 당신」 -아폴로에서 디오니소스로: 「친절한 복희씨」 -노년 혹은 망명(亡命) 3부 다시, 문학을 생각하다: 정오의 그림자 수상한 소설들 - 한국 소설의 이기적 유전자 -일말(一抹)의 혐의: ‘검은 집’으로서의 소설 -이문열의 단성성(單聲性): 우익에서 독단으로 -김훈의 보수성: 허무에서 긍정으로 -박민규의 계몽성: 현실 비판에서 현실 개혁으로 -환상의 전말(顚末): 정오(正午)의 소설 소설을 생각하다 - 한국 소설의 함정 -소설이라는 쌍두사(雙頭蛇) · 사족(蛇足) · 우로보로스(Ouroboros) -경험의 강요: 베르베르와 듀나의 과학적 상상력 -감정의 범람: 히토나리와 가오리, 배수아의 ‘쿨’한 연애 -계몽의 억압: 귀여니와 박범신의 반(反)성장 -자해(自害)의 소설, 자해(自解)의 소설 정치에 물었으나 문학이 답하는 것 -정치라는 유령, 유령의 정치 -모성의 분할: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법의 거부: 공지영, 『도가니』 -반복되는 실패, 더 나은 실패 어떤 소설에서 모든 언어로 - 정영문과 블랑쇼 -작위(作爲), 가능성의 불가능성 -무위(無爲), 침묵의 언어 -허위(虛爲), 죽음의 카오스 -자위(自爲), 불가능성의 가능성 21세기의 사랑법: 사랑 ‘이후’에도 사랑‘처럼’ - 김경욱의 「동화처럼」을 중심으로 -낭만적 서사와 그 적들: ‘경계’의 사랑 -운명에서 인용으로: ‘반복’의 사랑 -동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주체의 윤리와 교차성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2000년대 한국 소설의 형질 변화 현대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등을 수상한 김미현의 평론집 『그림자의 빛』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젠더’를 둘러싼 열두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한국 문학의 흐름을 되비추었던 『젠더 프리즘』 이후 12년 만에 출간되는 동시대 작품 대상 평론집이다. 2016년 출간된 『번역 트러블』은 문화번역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 작품을 분석한 저서였기에, 동시대 소설에 대한 김미현의 명료하고 재미있는 평론을 기다려 온 독자들에게 이번 평론집 출간 소식은 더 반가울 수밖에 없다. 『그림자의 빛』은 주체의 윤리, 잠재성의 문학, 감정 동학과 긍정의 윤리, 세속화와 환속화, 장소와 비장소, 돌봄과 자기서사, 교차성과 억압의 복잡성, 포스트휴먼과 테크노페미니즘, 모성트러블과 모성의 확장 등 21세기 사상의 최전선에 있는 주요한 개념을 바탕으로 2000년대 소설의 형질 변화를 조망한다. 지난 20년 동안 주목받은 한국 소설을 재편하는 김미현의 프리즘은 ‘그림자’다. 그림자를 포기하지 않는 바틀비적 윤리를 통해 옹호되는 21세기 주체의 윤리, 그림자를 빼앗긴 이후에도 여전히 성실한 삶을 이어 가는 여성들이 처한 지정학적 조건을 읽어 내는 교차성 페미니즘과 리부팅된 페미니즘, 한국 소설에 드리운 오래된 그림자를 되짚으며 살펴보는 문학의 정당한 실패들…… 한국 문학을 소환하는 그림자의 궤적을 따라가며 그 정면과 이면을 점검하는 일은 문학의 본질과 시대성에 대한 사유를 따라가는 일이기도 하다. 정오에도 그림자는 존재한다. 짧아서 보이지 않을 뿐이다. ‘그림자의 문학’이 위험에 빠질 때에는 그림자가 보이지 않을 때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다고 착각할 때다. 급변하는 시대와 함께 수시로 형질을 바꾸어 온 2000년대 한국 소설을 바라보는 김미현의 ‘그림자 문학’은 보이지 않는 그림자를 보는 긍정의 문학론이자 긍지의 문학론이다. ■ 그림자를 포기하지 않는 주체의 윤리 1부 ‘21세기 주체의 윤리: 바틀비들의 배달 불능 편지’에서는 2000년대 소설을 ‘주체의 윤리’라는 측면에서 분석한다. 1부에서 가장 많이 소환되는 주체는 바틀비다. 바틀비는 허먼 멜빌의 소설 『필경사 바틀비』의 주인공으로, 그의 직업은 필경사다. 바틀비의 후예들로서 2000년대 한국 작가들은 ‘그러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말하며 할 수 있는 것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하지 않는 것을 하겠다는 강력한 주체성을 보여 준다. 21세기의 변화된 현실을 변화된 주체를 통해 보여 주는 비틀비들의 다양한 행보는 그림자의 그림자조차 소중히 간주하려는 그림자 문학의 윤리를 강변한다. 바틀비는 절대 자신의 그림자를 포기하지 않는 윤리적 주체이기 때문이다. ■ 그림자의 상실에도 성실한 여성의 교차성 교차성은 한 사람의 사회적 정체성이 젠더, 인종, 계급 등 다양한 측면이 상호교차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한 사람에게 작용하는 지배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창발적 속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여성이 받는 차별과 흑인이 받는 차별을 각각 분석한 후 취합하는 방식으로는 흑인 여성이 받는 차별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없다. 2부 ‘스틸(steal) 페미니즘과 스틸(still) 페미니즘의 교차성’에서는 스틸이 지닌 이중성을 강조한다. 빼앗겼어도(steal) 여전히(still) 그녀들이 그녀들로 존재할 수 있는 생존술을 분석, 페미니즘 문학의 하부 장르를 새롭게 조명해 본다. 이전의 하부 장르와 서로 대비되는 교차성을 통해 교차 이전과 교차 이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영원한 상실’을 이기는 ‘성실한 상실’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림자조차 의심하는 문학의 역습 3부에서는 오랜 시간 한국 소설을 대표해 왔던 작가들의 문제작을 중심으로 문학 자체를 생각함에 있어 변하지 않는 것과 변하는 것의 경계를 살펴본다. 1부와 2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표한 지 오래된 텍스트들을 분석한 글들이 포함된 3부에서는 문학을 향한 질문이나 의문에 있어 여전히 유효한 질문과 그 해답에 이르는 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흔히 한국 문학의 어두운 그림자를 논할 때에 꾸준히 제기될 수 있는 ‘이기적 유전자·위험한 함정·정치라는 유령·언어의 불가능성·낭만적 사랑’ 등의 부정적 개념들을 작가론 혹은 작품론 형식으로 정리해 본다. 문학을 문학이지 않게 하는 불안의 요소들을 통해 문학을 문학이게 하는 것들을 거꾸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2000년대 문학의 형질 변화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