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_맛은 미학적 감각, 요리는 예술(캐롤린 코스마이어 교수) 추천의 글 _음식담론의 인문학 방향 제시(노봉수 교수) 프롤로그 맛에 관한 논쟁은 있을 수 없다_고대 그리스 철학 _맛 감각과 소비행위 탐구 제1장 감각의 위계서열 맛은 그 자체로 철학적 물음에 답할 수 있을까? 감각과 신체_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감각의 위계와 전통의 연속성 제2장 맛의 철학_미학과 비미학적인 감각들 미각적 맛(t)과 미학적 맛(T) 구분 “맛”_문자적인 사용에서 유비적 사용으로 맛의 문제 흄에게 맛의 표준이 되는 열쇠 칸트_동의할 수 있는 것 vs 아름다운 것 미학과 예술적 감각 18세기 미학적인 맛과 미각적인 맛 제3장 맛의 과학 맛의 의미를 깔보려는 철학자 사람의 미각 혀의 조직과 맛의 화학적 성질 맛에 대한 비하 기본 풍미를 추적하기_이른바 맛감각의 빈약함 코와 혀 원초적인 감각과 야만적인 식욕 맛으로의 복귀 신체적인 차이와 맛들 문화와 맛_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 맛의 현상학 맛의 주관성 제4장 맛의 의미와 의미 있는 맛 맛은 미학적 담론으로 적합할까? 맛과 미학적 즐거움 맛의 상징들 표상된 음식 예시된 음식 표현된 음식 의식과 의례 음식과 예술의 비교 제5장 시각화된 식욕_맛과 음식을 표현하기 예술적 관점에서 시각과 미각은 동등하다 표현된 맛_예술에서의 감각 위계 정물화와 음식에 대한 묘사 정물화에 대한 찬사 표현된 식욕 혐오감 제6장 식사 이야기 음식은 서사적 이야기와 잘 어울려 소름끼치는 식사-복수심에 사무친 요리 식사의 역설 멜빌의 명상적 서사시 《모비딕》_스티브의 저녁식사 누구와 함께 무엇을 먹는가_음식과 공동체의 형성 바베트의 만찬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 해제(解題) _젠더적 사유로 정립한 음식철학 고전서(김병철 소장) 옮긴이의 글 _한국의 음식인문학 새 지평 열었다.(권오상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