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 스티븐 존슨, 가장 혁신적인 ‘결정의 과학’을 말하다 프롤로그 : 우리는 어떻게 결정하는가 500년의 실수 / 다윈의 선택 / 심사숙고가 필요한 이유 / 코드네임 제로니모 / 합리적 선택은 왜 어려울까 / 복잡한 결정은 ‘지문’과 같다 1장 마음의 지도를 그리다 직감을 버리고 모든 상황을 다양한 관점으로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생각의 사각지대 / 결정의 시작: 심적 지도와 영향도 / 다양한 관점을 확보하라 / 불확실성과 결정의 상관관계 / 신중하게 결정하는 사람들의 특징 / 새로운 대안은 가장 바깥에 있다 / 양자택일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법 2장 예측하는 인간, 호모 프로스펙투스의 도구들 복잡한 의사결정을 위해 인간은 어떤 예측의 도구를 개발해왔을까? 디폴트 네트워크 혹은 백일몽 / 슈퍼 예측가들에게 미래를 물어보았다 / 의학과 예측 / 초기의 기상 예보 / 시뮬레이션이라는 진보 / 게임 이론 / 시나리오 플래닝 / 사전부검과 레드팀 3장 결정의 알고리즘: 어떻게 편향의 한계를 벗어날까 여러 선택지 중에서 무엇이 ‘결정적’인지 알 수 있는가? 어떻게 그 확신을 입증할 것인가? 어떤 ‘가치’가 더 중요한가 / 위험의 크기를 계산하라 / 심사숙고의 진정한 의미 / 오바마의 선택 4장 사회적 결정: 모두를 위한 현명한 선택을 내리는 법 인공지능 컴퓨터가 시뮬레이션을 짜서 새로운 선택지를 내놓는다면, 아무 의심 없이 그 선택을 받아들여도 좋을까? 컴퓨터가 결정을 대신하는 시대 / 시야의 확장: 인류 혹은 지구 차원의 결정 / 두려움과 나아감 사이: 초지능과 인간의 의사결정력 / 드레이크 방정식: 미래는 움직인다 5장 개인적 결정: 자신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내리는 법 개인의 삶에 밀접한, 무수히 많은 선택의 결과를 ‘미리보기’ 할 수 있다면? 서부로 가라, 중년이여 / 도로시아의 선택 / 메리 앤의 선택 / 소설 속 결정의 풀 스펙트럼 /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어라 / 인생의 시뮬레이션은 모두 소설 속에 있다 에필로그 : 우리는 더 멀리 내다볼 수 있다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 명견만리한 결정을 위한 조건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