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속 탈식민주의

서인숙
235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임권택 영화와 한(恨)의 미학 1장 한국적 서사와 민족 담론 2장 <족보>, <서편제> 그리고 한의 미학 3장 한국적 영화 스타일의 모색과 검토 1. 임권택 영화 스타일 vs.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스타일 2. 롱 테이크에 의한 미장센 비교 3. 한국적 영상의 의미 제2부 한국형 블록버스터와 탈식민주의 1장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특성 2장 호미 바바의 문화적 혼성주의 제3부 한국형 블록버스터에서 분단의 재현방식 -한과 신파의 귀환 1장 한국 분단영화의 비극성 2장 선행연구를 통해 본 한과 신파 1. 한(恨)이란 무엇인가? 2. 신파와 한에 대한 비교 검투 3장 <쉬리>, ,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에서의 한과 신파 1. <쉬리> 2. 3. <태극기 휘날리며> 4. <실미도> 4장 분단 영화에서 한과 신파의 비극성이 의미하는 것 5장 한고 신파의 극복을 위하여 제4부 장르의 진화와 반복의 변주, 그리고 재현의 정치성 -<웰컴 투 동막골> 1장 장르영화로서의 <웰컴 투 동막골> 2장 환상성과 화합의 민족주의, 그리고 탈비극화 1. 환상성 2. 화합의 민족주의 3. 탈비극화와 저항정신 3장 <웰컴 투 동막골>의 재현의 전복 1. 재현의 정치학의 이론적 토대 2. 스펙터클의 전복: 멧돼지 장면 4장 <웰컴 투 동막골>의 민족주의의 한계 제5부 모방과 문화번역이 완성한 탈식민주의 - <괴물> 1장 <고질라>의 한국적 모방, <괴물> 2장 <괴물>의 창조적 번역과 의도적 혼성화 3장 <괴물>의 진보성과 사회성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