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AI 시대에 적합한 조직의 인사 관리법, 그 방향과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이 책의 〈1장〉은 왜 인사 관리 담당자가 AI의 기본적인 내용과 ‘왜 다가오는 AI를 준비해야 되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하였다. AI가 인사 관리에 미치는 전반적이면서 주된 내용을 다루었고, 이는 비단 인사 관리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장〉부터 〈5장〉까지는 인사 관리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에 AI의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봤다. 즉 〈2장〉에서는 채용의 분야를, 〈3장〉에서는 교육 분야를, 〈4장〉에서는 성과와 보상의 분야를, 그리고 〈5장〉에서는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끝으로 〈6장〉에서는 인사 관리 담당자가 AI의 변화를 맞이하는 태도와 대안에 대해서 제시해 보았다. 인사 조직의 저명한 학자인 로버트 E. 퀸은 변화의 시작과 끝은 자기 자신의 변화라고 했다. 하지만 변화의 핵심을 꿰뚫지 못하고, 단지 새로운 제도라는 갑옷만 입고 전장에 나가서 싸우면 백전백패이다. 인사 제도의 변화는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책을 통해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AI로 인한 변화가 근본적으로 DHO 필요한지를 알며, 변화를 시도하기 바란다. 아울러 앞으로 다가오는 변화를 신중하고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대응하기를 바란다. 인사 관리 분야에도 AI 트랜스포메이션의 파도가 밀려들었다 조직에서 인사 관리는 너무나도 중요하다. 하지만 조직에서 인사 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과 금전적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하는 경우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더구나 이제 인사 관리 분야에도 AI 혁명의 물결이 밀려든다고 하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변화도 조직에 맞지 않으면 오히려 악영향을 끼친다. 변화를 실행하기 전에는 변화를 가져오는 대상을 잘 파악하고, 그 변화가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변화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 변화의 첫걸음은 바로 조직 구성원들의 AI 기술에 대한 변화의 태도에 있다.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고 어느 한편에서는 이미 다가온 AI의 기술 혁신이 인사 관리 업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준비하고자 하는 인사 관리 담당자에게 이 책이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인사 업무에 관련이 없더라도 AI가 앞으로 인사 관리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관심을 지니고 있거나, 현재 조직의 업무에 AI 혁신으로 인한 변화를 추구하는 임직원이나 회사 대표에게도 인사이트를 제시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