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머리말 ㅣ 6.25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제1장 골육상쟁의 근본주의 / 1950년
'공갈 때리기'의 비극ㅣ이승만의 참패로 끝난 5.30 선거ㅣ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40분ㅣ이승만과 정부의 갈팡질팡ㅣ대전에서 낙동강까지ㅣ서울에서의 '서바이벌 게임'ㅣ학살: 뿌리뽑고 씨말리기ㅣ노근리: "모든 피난민들을 향해 사격하라"ㅣ두 얼굴: 학도병과 상류층ㅣ적반하장:도강파와 잔류파ㅣ악순환: 피를 보면 피에 굶주린다ㅣ'평양 점령은 수치였다'ㅣ신천 학살: 기독교와 맑스주의라는 손님들ㅣ중국의 참전, 미국의 원자탄 사용 검토ㅣ함평과 흥남: 두 개의 다른 지옥도ㅣ전쟁의 최초 희생자는 진실
자세히 읽기
김상룡.이주하.조만식ㅣ채병덕과 신성모ㅣ제주 4.3 사건과 '귀신 잡는 해병'ㅣ얼굴 없는 켈로부대ㅣ'시민증이 없으면 죽은 목숨'ㅣ소련과 일본의 비밀 참전
제2장 '톱질전쟁'의 와중에서/1951년
1.4후퇴: 서울에서 부산까지ㅣ맥아더와 리지웨이: 원자폭탄과 몰살작전ㅣ국민방위군: 9만 명을 죽인 '해골의 행렬'ㅣ거창: 무얼 지키기 위한 전쟁인가?ㅣ트루먼의 맥아더 해임ㅣ휴전회담: 개성에서 판문점까지ㅣ지리산에서 '쥐잡기 작전'ㅣ이승만의 자유당 창당ㅣ전쟁 중의 뜨거운 교육열
자세히 읽기
거창, 그 이후ㅣ이승만의 특정인 총애ㅣ더글러스 맥아더는 '영웅'인가?
제3장 '군사 전쟁과 '정치 전쟁'/1952년
미군은 세균폭탄을 투하했는가?ㅣ부산: 경제가 없는 전쟁과 정치ㅣ거제도: 한국전쟁의 축소판ㅣ대통령 선거: 이승만과 아이젠하워ㅣ전쟁 속의 언론과 대중문화
자세히 읽기
이승만의 이종찬에 대한 분노ㅣ 이승만 암살미수 사건의 진상ㅣ상이군인의 비극ㅣ부산 조선방직 사건ㅣ모윤숙의 '낙랑클럽'ㅣ국군 장병 위문ㅣ1년만에 17배로 커진 삼성물산
2권
제4장 전쟁의 잿더미 속에서 / 1953년
보릿고개와 인플레ㅣ'스탈린 사망'에서 '북진궐기대회'까지ㅣ이승만의 반공 포로 석방ㅣ휴전: 반공이 아닌 반한을 위한 전쟁ㅣ민간인 학살: 끝나지 않은 전쟁ㅣ포로송환: '광장'과 '밀실'의 와중에서ㅣ김일성의 남로당파 숙청ㅣ한미상호방위조약과 '반공 선민주의'ㅣ'유엔마담', '꿀꿀이죽', '비로도'ㅣ샌프란시스코: 동경과 숭배 대상으로서의 미국ㅣ기독교: 반공, 친미, 기복ㅣ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ㅣ월남과 월북: 두 개의 생존방식
자세히 읽기
'사랑방'에서 '다방'으로ㅣ'굳세어라 금순아'
제5장 자유당 독재체제의 구축 / 1954년
이승만의 족청계 제거ㅣ'자유부인'과 '허벅다리 부인'ㅣ한글 간소화 파동ㅣ제3대 총선: "개헌 조건부로 입후보케 하라"ㅣ이승만의 방미: 불행한 방문ㅣ사사오입 개헌ㅣ<한국일보> 창간, 기독교방송 개국ㅣ문학: 예술원, 펜클럽, 실존주의
자세히 읽기
군복 착용 강도의 횡행ㅣ졸업식 꽃다발 유행ㅣ"일본에 지면 현해탄에 모두 빠져 죽으리라"ㅣ김성주 살해 사건ㅣ'반공=도의' 교육 강화ㅣ한국 영화 최초의 키스신ㅣ카투사는 '한국전쟁이 낳은 기형하'
제6장 '우상 정치'와 '동원 정치' / 1955년
이승만은 '예수나 석가와 같은 성자'ㅣ반둥회의: 평화공존은 친공인가?ㅣ박인수 사건: '숫처녀 논쟁'ㅣ반일운동과 반공운동의 결합ㅣ'학도를 정치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ㅣ군: 부정부패의 창궐ㅣ불교: 정화인가, 법난인가?ㅣ민주당의 탄생ㅣ'전쟁 미망인의 타락을 막아라'ㅣ'괴뢰 이승만' 사건과 <사상계>의 활약ㅣ피아골, 아리조나 카우보이, 국민 명랑화 운동ㅣ박태선, 문선명, 나운몽
자세히 읽기
도시화와 서울 집중ㅣ'시발' 자동

1940 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10년 단위로 나눠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한국 현대사 산책' 시리즈의 1950년대 편. 그간 외국의 이론이나 평면적인 사회학적 시각에서만 평가되어온 6.25 전쟁을 주제로 삼았다. 지은이는 6.25 전쟁을 유혈적인 참극이라는 점 외에도, 수천 년 동안 내려온 신분제와 그에 따른 도덕체계를 붕괴시킨 전쟁이며 생존이라는 몸부림 앞에 갖가지 부정부패와 '빽' 과 연줄을 만들고 합리화시켰던 전쟁이라는 다각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이로부터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찾는다. 이와 더불어 전쟁과 함께 늘어난 기독교 신자와 교회, 미국적 뉘앙스를 풍기는 대중가요의 유행, 원자물자로 기식했던 한국 정부와 권력자들과 같은 한국 사회의 시대적 산물을 보여준다. 정치, 외교, 언론, 경제, 사회, 대중문화 등 방대한 영역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역사서술을 시도했다는 점, 논쟁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을 소개하면서도 지은이 나름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 등이 특징이다.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