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박범신 · 소설
38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7(146명)
0.5
4
5
평가하기
3.7
평균 별점
(146명)
코멘트
더보기

어느덧 노년에 접어든 '영원한 청년 작가' 박범신의 장편소설. 42년 전 문단에 데뷔한 작가의 마흔두번째 장편소설이니, 작가는 매해 한 권의 장편을 발표해온 셈이다. '갈망 3부작' <촐라체> <고산자> <은교>, '자본주의 폭력성 비판 3부작'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비즈니스> <소금>에 이어 지난해 <소소한 풍경>을 발표한 작가가 이번에 파고든 주제는 노년, 기억, 죽음, 애도 그리고 사랑이다.

별점 그래프
평균 3.7(146명)
0.5
4
5

저자/역자

코멘트

6

목차

2015 · 11 2009 - 2015 · 32 1950 · 55 2010 - 2015 · 66 1950 · 93 1959 · 105 2012 - 2015 · 123 1962 · 156 1964 · 164 2013 - 2015 · 182 1965 · 225 2014 - 2015 · 255 1970 - 2015 · 268 1970 - 2013 · 294 1981 - 2015 · 307 1993 - 1995 - 2014 · 344 2014 - 2015 · 363 2015 · 371 에필로그 · 380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함께 견뎌온 삶의 물집들이 세월과 함께 쌓이고 쌓여 만들어진 눈물겨운 낱말, 당신 ‘영원한 청년 작가’ 박범신이 노년에 부친, 삶과 죽음, 기억과 망각 사이의 슬픈 시간여행 어느덧 노년에 접어든 ‘영원한 청년 작가’ 박범신이 신작 장편소설 을 문학동네에서 펴냈다. 42년 전 문단에 데뷔한 작가의 마흔두번째 장편소설이니, 작가는 매해 한 권의 장편을 발표해온 셈이다. ‘갈망 3부작’ <촐라체> <고산자> <은교>, ‘자본주의 폭력성 비판 3부작’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비즈니스> <소금>에 이어 지난해 <소소한 풍경>을 발표한 작가가 이번에 파고든 주제는 노년, 기억, 죽음, 애도 그리고 사랑이다.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문학동네 네이버카페에 ‘꽃잎보다 붉던-당신, 먼 시간 속 풍경들’이라는 제목으로 일일 연재되기도 했던 이 소설은, 치매에 걸린 노부부를 통해 한평생의 삶과 사랑과 관계에 대해, 또 그 현상과 이면에 대해 남김없이 천착해 펼쳐 보인다. 한편으로는 치매 걸린 노인의 정신이 먼 과거의 기억을 향해 달려나가듯이,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육체가 빠른 속도로 죽음을 향해 무너져내려가듯이, 이 소설은 현재 시점에서 노부부가 살아온 과거의 시공간을 종횡으로 오간다. 하고픈 말을 다 하지 못한 채 끝을 맺고 만 ‘당신’의 사랑을 달래고 기리는 진혼곡으로 은 씌어졌다. ‘박범신 중단편전집’(전7권), 문학앨범 동시 출간! 노년의 주인공이 지난 삶을 회고하듯 씌어진 소설 은 작가의 문학앨범 , ‘박범신 중단편전집’(전7권, <토끼와 잠수함> <흉기> <엔도르핀 프로젝트> <흰 소가 끄는 수레> <향기로운 우물 이야기> <빈방> <쪼다 파티>)과 함께 출간됨으로써, 작가의 지난 42년 작품세계를 회고하고 갈무리한다는 의미도 동시에 지닌다. 작가의 초기 중단편부터 최근작까지 모두 85편이 실린 ‘박범신 중단편전집’에는, 1970년대 말부터 1990년 초까지 발표했던 콩트들의 핵심을 한 권으로 추려낸 <쪼다 파티>가 포함돼 있기도 하다. 일흔넷이 되던 날 새벽에 비로소 시작한 사랑, 그러나 하고픈 말을 다 하지 못한 채 끝을 맺고 만 사랑 은 2015년, 일흔여덟 살의 주인공 윤희옥이 이제 막 죽어 경직이 시작된 남편을 집 마당에 묻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마치 오랫동안 남편의 죽음을 준비해온 것처럼 부인 윤희옥의 뒤처리는 섬세하고 깔끔하다. 그런데 일을 마친 윤희옥은 경찰서를 찾아 남편이 실종되었다고 신고를 한다. 그녀는 왜 사망 신고 아닌 실종 신고를 택했을까? 한평생을 부인 윤희옥과 딸아이 주인혜에게 헌신하며 살아온 듬직한 남편이자 아버지 주호백, 그는 2009년 두 차례 뇌출혈을 겪으면서 그 자신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인생의 말년을 맞이하게 된다. 치매에 걸린 그의 정신이 구심력을 따라 먼 과거의 시간을 향해 나아갈 때, 파킨슨병과 당뇨와 고혈압은 그의 육체를 원심력의 힘으로, 삶의 끝으로 몰고 간 것이다. 주호백의 정신과 육체의 에너지 흐름이 이처럼 정반대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하면서, 그로서는 결코 밝히고 싶지 않았을 한평생의 인내, 헌신, 사랑의 이면을 부인에게 또 딸아이에게 드러내 보일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생급스럽기만 한 남편의 거친 모습에, 부인 윤희옥은 애써 감추고 또 잊고자 했던 지난 삶의 순간들을 복기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소설은 2015년 시점에서 끊임없이 과거를 소환하고, 또 과거끼리 교차하는 방식으로 서술된다. 치매 이후 마치 ‘지킬박사와 하이드씨’처럼 변한 남편을 새로 받아들이기 위해 윤희옥은 가장 먼저 1950년의 기억으로 거슬러올라간다. 6.25가 발발하기 몇 달 전, 열세 살 윤희옥과 열 살 코흘리개 주호백이 처음 만나는 장면이다. 도무지 답답한 가슴이 뚫리질 않는다. 소녀를 보는 순간 무슨 얄망궂고 앰한 일이 분명 자신에게 벌어진 느낌이다. 이를테면, 별똥별이 정통으로 가슴속에 떨어졌거나, 이상한 벌레들이 머릿속으로 갑자기 이사 들어와 막 집을 짓고 있는 것 같다.(62쪽) 공감 능력이 유달리 뛰어나기도 했던 소년 주호백은 자신 가슴속에 ‘정통으로 떨어져내린’ 윤희옥에게 한순간 사로잡히고, 한평생 의심 없는 사랑으로 그녀 곁에 머문다. 둘이 성인이 되었을 때 김가인이라는 인물이 돌연 등장했다가(1959년), 둘에게는 쉬 지워지지 않는 흔적을 남긴 채 또 홀연히 떠난다(1969년). “누구나 제 마음대로 조정이 안 되는 쪽배를 타고 흘렀던” 시절에 혁명을 꿈꾸었던 김가인에게 윤희옥은 온 마음을 빼앗기지만, 그 시절은 김가인이라는 사람을 송두리째 그녀에게서 빼앗아가고 만다. 1964년, 김가인은 희옥의 뱃속에 아이를 남기곤, 소식은 물론 생사조차 알 수 없는 감옥으로 붙잡혀 들어간다. 처녀가 애를 배는 걸 상상할 수 없던 시절, 오갈 곳 없이 무작정 새벽 도망을 친 윤희옥을 흔연히 받아들여 구원한 건 십수 년 전의 코흘리개 주호백이다. 인내와 헌신으로 시종하는 주호백의 삶과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그러나 2009년, 노년의 주호백이 치매에 걸리면서 한결같았던 그의 삶에 균열이 생겨나고, 그가 억눌러왔던 내면이 그 틈으로 하나둘 비집고 나오더니 걷잡을 수 없이 폭발하기 시작한다. 예컨대, 1968년 수두에 걸린 딸아이를 주호백과 함께 내팽개치고 두 달여 김가인과 지내고 돌아온 윤희옥에게 ““인혜야, 엄마 왔네. 저어기, 저기 엄마!” 원만한 표정으로 말하고 나서, “들어와요. 그러고 서 있으니까 애가 울잖아요” 덧붙이던 그”가 2013년에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어 나타난 것이다. 한번은 그가 나의 뺨을 후려친 적이 있었다. (……) 누군가의 광포한 힘에 상반신이 들렸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의 손바닥이 사정없이 내 뺨으로 날아들었다. 살똥스러운 손짓이었다. “나쁜 년!” 그가 말했고, 이어 그의 다른 손이 반대쪽 뺨으로 날아왔다. 얼마나 거칠었는지 내 몸이 침대 밑으로 나가떨어졌을 정도였다. “네년이 그러고도 에미야? 수두에 걸려 죽을 둥 살 둥 하는 어린것을 팽개치고 사내놈을 만나러 집을 나가?” 그의 눈에서 사뭇 불길이 솟아나왔다. 잘못하면 나를 죽이려고 목이라도 조를 것 같았다. “나가! 무슨 낯짝으로 여기를 기어들어와! 인혜는 이제 네 딸이 아니야. 내 딸이야. 그러니 당장 다시 나가란 말이야! 나 혼자 키울 수 있어!” 그가 소리쳤다.(201쪽) 치매와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서서히 죽어가는 남편을 간병하면서 윤희옥은 그가 부정, 분노, 협상, 우울의 단계를 차례로 거친 후 죽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끔 돕는다. 말년의 주호백은 잠깐 제정신이 들 때면, 자신을 죽여달라고 부탁하기도 했고, 미욱한 방식으로나마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윤희옥은 그가 생전에 특별히 사랑했지만 지독한 알레르기 때문에 결코 가까이 할 수 없었던 청매꽃을 구해, 주호백의 염원대로 그를 ‘안락사’시킨다. 그리고 아직 자신의 ‘할 일’은 끝나지 않았다고 여긴 희옥은 집 마당에 새로 매화나무를 심으려고 파놓은 구덩이에 남편을 몰래 묻고, 경찰에 실종 신고를 한다. 윤희옥은 그러나 제 손으로 남편을 묻었다는 사실을 이내 곧 잊고는, 돌아올 리 없는 남편을 남은 생애 매순간 기다리며 지낸다. 윤희옥의 몸속에서도 치매가 이미 진행중이었던 것이다. 밤새들이 꾹꾹 꾸르륵 하면서 가을 숲으로 날아갔다. “근데 얘, 네 아빠가 지금까지 돌아오질 않는구나.” 어머니가 잠시 후 덧붙여 말했다. “이 양반 들어오기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6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