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언
1장 신도란 무엇인가
‘신도’라는 말
신도의 기원
1. 신도와 가미
2. 신도 신화
1) 니니기와 고노하나
2) 호데리와 호오리
3) 부활하는 신 오나무치
4)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5) 이자나기의 황천국 방문
6)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
7) 신도 신화의 주제: 부정의 발생과 제거
3. 게가레
1) 신도는 ‘부정을 가장 싫어하는 종교’
2) 게가레와 이미
3) 부정의 세 범주
4) 재앙의 원천으로서의 게가레
4. 신도와 마쓰리
1) 마쓰리의 어원
2) 마쓰리와 정치
3) 기년제 반폐
4) 신상제와 대상제
5) 신사 우선의 원칙
6) 노리토란 무엇인가
7) 노리토의 일본 문화론적 의미: 언령 신앙
8) 미소기: 물에 의한 하라이
9) 오하라이: 마쓰리의 기본
10) 대불: 국가적 차원의 오하라이
11) 모노이미: 목욕재계와 금기의 준수
12) 악의 하라이와 선의 하라이
5. 신도와 신사
1) 신사의 특징
2) 신사의 기원에 관한 의문
6. 신도 윤리와 마코토
1) 천진죄와 국진죄
2) 삼사탁선
3) 기도와 정직
4) 마코토
5) 상대주의적 선악관
2장 가미와 호토케
가미 관념의 역사적 전개 과정
1.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가미 관념
1) 애니미즘·누미노제·천황
2) 신인
3) 선악의 피안
4) 『풍토기』의 가미 관념
2. 민속학적 가미 관념: 조상신과 씨신
3. 고대의 가미 관념: 다타리가미와 어령신
1) 다타리가미
2) 어령신
4. 중세의 가미 관념: 상벌의 가미와 호토케로서의 가미
1) 상벌을 내리는 가미
2) 호토케란 무엇인가
3) ‘일본의 호토케’
4) ‘일본의 가미’로서의 호토케
5) 애니미즘적 호토케 관념
6) 신불이라는 가미 혹은 호토케
7) 변신하는 가미의 유연성
3장 신도와 불교
1. 신불습합 연구사
1) 신불습합설의 두 가지 전형
2) 비판과 보완
3) 종합과 절충
4) 민중과 신불습합
5) 새로운 관점
2 가미에게 접근하는 호토케: 신신이탈과 신궁사
1) 신신이탈
2) 신궁사
3) 미야데라
4) 신궁사의 의의
3. 호토케에게 접근하는 가미: 진수사와 호법선신 관념
1) 진수사와 우사하치만
진수사의 대표적 사례
하치만신의 특징
2) 호법선신
진수사와 호법선신
가미의 보살호와 신직의 출가
4. 호토케가 된 가미: 어령회?본지수적?중세일본기
1) 어령회
기타노어령회
기온어령회
2) 본지수적
3) 중세일본기(중세신화)
5. 호토케를 멀리하는 가미: 게가레 기피 관념, 신불격리
1) 게가레와 모노이미
2) 신불격리
6. 습합의 사유 구조
4장 신도의 유파
1. 불가신도
1) 가마쿠라 신불교와 신도
남도육종과 신도
일련종과 신도
정토종계 교단과 신도
선종과 신도
2) 양부신도
3) 삼륜류신도와 어류신도
4) 신도 관정
5) 산왕신도
2. 이세신도
3. 길전신도
신사의 신도설
지헨의 반본지수적설
1) 길전신도의 교의: 『유일신도명법요집』
2) 길전신도의 의례
3) 종원선지와 신도재허장
4. 유가신도
1) 이당심지신도
2) 도회신도
3) 길천신도
4) 수가신도: 유가신도의 집대성
5) 서민적 신도설
5. 국학과 복고신도
1) 국학
게이추
가다노 아즈마마로
가모노 마부치
모토오리 노리나가
히라타 아쓰타네
2) 복고신도
전기 복고신도: 노리나가의 신도설
후기 복고신도: 아쓰타네의 신도설
3) 복고신도 이후 신도설의 주요 흐름
오쿠니 다카마사
신기습합신도
교파신도
가무나가라노미치
국체론
5장 신도와 도교
1.‘신도’라는 용어와 도교
2. 천황과 도교
1) 천황 신화의 도교적 요소
2) 천황 호칭과 도교
3) 삼종의 신기와 자색의 중시
4) 대불 노리토
3. 도교에 친숙했던 덴무·지토·간무 천황
1) 덴무 천황과 도교
2) 지토 천황과 도교
3) 간무 천황과 도교
4) 황거와 도교
4. 이세신궁과 도교
1) 이세신궁과 태일
2) 아마테라스와 태일
5. 신도적 습속과 도교
1) 오후다 신앙
2) 오미쿠지 신앙
3) 복신 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