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우리 문장
그믐달 - 나도향
무상 - 이은상
청추수제 - 이희승
낙엽을 태우면서 - 이효석
헐려 짓는 광화문 - 설의식
수정 비둘기 - 김동인
행화 - 윤오영
청춘예찬 - 민태원
수인영가 - 이어령
산정무한 - 정비석
책 - 이태준
신록의 고허 - 이은상
영동을 지나며 - 박두진
그리운 시절 - 김환태
잡초처럼 - 이영도
육사비문 - 조지훈
백설부 - 김진섭
권태 - 이상
2부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우리 문장 문장론
글을 쓰는 마음 - 윤오영
문장도는 고행도苦다 - 안병욱
'쉽게 쓰기'의 어려움 - 이형기
'좋은 문장'은 그 사람에게서 배어나는 향기다 - 한승원
소설을 쓰기 위해 독약까지 맛본 플로베르의 교훈 - 정건영
아적 독서론 - 윤오영
관조의 세계에서 번져오는 희열 - 김규련
씨름하듯, 기진해서 - 임선희
낯선 것은 익숙하게, 익숙한 것은 낯설게 - 권현옥
선 채로 꾸는 꿈 - 노정숙
사람, 순간, 정열 - 박미경
3부 소리 내어 읽고 싶은 우리 문장 마름질
거룩한 본능 - 김규련
새하얀 명함 한 장 - 김소운
도마뱀의 사랑 - 이범선
빠름과 느림의 사이 - 전희천
동백꽃 필 무렵 - 김성우
이 일만 끝나면 - 이시형
페이터의 산문 - 이양하
새벽을 맞는 마음으로 - 이시형
그랜드캐니언 - 천관우
애월 단상 - 임선희
아리랑과 정선 - 김병종
행복의 조건 - 김형석
미운 간호부 - 주요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