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위화감이 컨셉의 출발점이 된다 - 머리말을 대신하여
젊은 친구들이 객관적으로 표현한 이 책의 ‘본질적 가치
제1장. 왜 지금 다시 컨셉을 이야기하는가 - 컨셉이 필요해진 시대 배경
많은 사람이 ‘이곳이 아닌 어딘가’를 바라는 이유
왜 지금 컨셉이 필요한가
다시 말해 ‘격동하는 시대’
‘전생’은 불가능하니 ‘인식’을 초기화하자
‘전생’을 소재로 한 작품이 유행하는 이유
초기화할 수 없는 현실을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가
컨셉은 ‘인식에서 출발해 현실을 바꾼다’
격동을 르네상스로 바꿔버리자
창의적인 분노야말로 컨셉의 시작
제1장의 내용 요약
제2장. 컨셉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다주는가 - 컨셉의 요소, 종류, 효과
컨셉이란 무엇인가
우선 많이 살펴보자
컨셉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컨셉의 ‘세 가지 종류’
컨셉은 어떤 효과를 불러일으키는가
‘훌륭한 컨셉’이 지닌 다섯 가지 효과
첫 번째 효과, ‘굳어지다’
두 번째 효과, ‘번뜩이다’
세 번째 효과, ‘두드러지다’
네 번째 효과, ‘모여들다’
다섯 번째 효과, ‘지속되다’
컨셉의 가장 큰 이점이란?
컨셉은 ‘속박’이 아니다
‘지도보다 나침반’이라는 말의 본질
가장 큰 효과, ‘즐길 수 있다’
토라야를 통해 살펴보는 ‘보편성’과 ‘가변성’
메밀국숫집은 어떻게 해야 했을까
컨셉이 필요 없다는 의견에 대한 대답
제2장의 내용 요약
제3장. 컨셉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 컨셉의 구조
기본이자 만능! 컨셉 구문
컨셉이 한 줄이 되기 전에
컨셉 구문의 ‘구조’
세 가지 원소 B·I·V
제안의 방향성 = 컨셉을 결정짓는 것
첫 번째 원소, 선입견
두 번째 원소, 인사이트
세 번째 원소, 비전
B×I×V=‘C’
세 가지 원소가 만드는 BIV-C 모델
미래는 대부분 ‘보통’의 다음으로 인식된다
선입견과 인사이트 사이에 ‘딜레마’가 있다
비전은 ‘용기’의 원동력
컨셉은 ‘새로운 제안’이 만든 평범한 미래와의 ‘각도’
컨셉이 ‘A = 행동’을 낳고 현실을 바꾼다
반드시 세 가지가 모두 있어야 하는가
컨셉의 형태
보통은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다
첫 번째 형태, ‘말’
두 번째 형태, ‘그림’
세 번째 형태, ‘도식’
네 번째 형태, ‘이야기’
다섯 번째 형태, ‘표본’
가장 좋은 형태를 선택하려면
컨셉과 비슷하지만 다른 것
‘컨셉’이 붙는 단어들
카피는 컨셉을 전하는 수단
아이디어는 컨셉을 구현하기 위한 발상
톤앤매너는 컨셉을 구체화할 때 필요한 방침
네이밍은 컨셉의 대상을 가리키는 이름
트렌드 키워드는 컨셉을 둘러싼 객관적인 사실
제3장의 내용 요약
제4장. 컨셉은 어떻게 선정하는가 - 컨셉 고르는 법
컨셉 구문을 써보자
‘만드는’ 게 아니라 ‘골라내는’ 느낌으로
정답은 없다, 남은 건 시행착오뿐
선입견을 꿰뚫어 보는 방법
‘누구에게’ ‘어떠한 선입견이 있는가’
‘우리’란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가리키는가
시야를 넓혀 선입견을 찾는 세 가지 축
‘역사적 사고’로 변화를 파악한다
미래 예측은 ‘알아맞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상을 뒤집기 위해서’다
선입견은 ‘안과 밖의 경계’에서 드러난다
선입견을 꿰뚫어 보기 위한 힌트
인사이트를 찾는 방법
상대의 진정한 욕구는 무엇인가
이 기획은 누구를 위한 기획인가
시야를 넓혀 인사이트를 찾는 세 가지 축
인사이트에도 ‘역사적 사고’를
본인도 자각하지 못한 ‘숨은 욕구’란 무엇인가
‘다른 것으로는 안 되나?’라는 관점이 해상도를 높인다
인사이트의 단서는 현장에서 잡는다
인사이트를 찾기 위한 힌트
선입견과 인사이트 사이에서 ‘딜레마’를 찾자
비전을 찾는 방법
결국 회사는 어떤 미래를 바라는가
이상적인 비전은 ‘for other by me’
자신의 이익을 비전으로 승화하려면?
트렌드를 비전으로 승화하려면?
인생으로 비전을 손에 넣는다
B·I·V 중 어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