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부: 파룬궁 박해
주요 내용
제1장: 구금시설
1.1 세뇌반
1.2 강제노동교양소
1.3 정신병원
1.4 고무도장 사법제도
1.5 수감된 수련자의 권리 침해
제2장: 고용, 교육, 주택, 경제적 안정에 대한 부정
2.1 박해에서 학교 시스템의 역할
2.2 고용기회를 거부하고 개인재산을 몰수하다
2.3 살 곳이 없다
2.4 가택수색
2.5 강요
2.6 연금 중단
2.7 현대판 전체주의 국가
2.8 가족들이 수련자에게 등을 돌리다
제3장: 파룬궁 수련자 아이들의 고통
3.1 어린이 세뇌
3.2 어린 나이에 사망
3.3 고아가 되다
3.4 가족이 갈라지다
3.5 정신이상이 되다
3.6 폭력과 잔인함
3.7 감금
3.8 강간
제4장: 고문 방법
4.1 때리기
4.2 강제 음식물 주입
4.3 불편한 자세
4.4 감각 충격
4.5 기본권 제한
4.6 전기 충격
4.7 물고문과 질식시키기
4.8 독방 감금
4.9 강간, 성적 학대, 성적 수치심 유발
제5장: 박해로 인한 사망
5.1 수감된 여성의 생명유지 장치를 가족의 동의 없이
당국이 제거해 사망케 하다
5.2 랴오닝 여성이 수감된 지 13일 만에 사망하다
5.3 허베이 여성이 체포를 피하려다 사망하다
5.4 진순누의 사망
5.5 다른 사망 사례
제6장: 육체적 상처와 정신적 트라우마
6.1 육체적 고문과 학대의 결과
6.2 가족의 곤경–가족의 입장에서
제7장: 장기적출-전례 없는 범죄
7.1 부족한 법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짧은 대기시간과 풍부한 장기 가용성
7.2 실종된 파룬궁 수련자들
7.3 군대의 개입
7.4 강제 혈액 검사
7.5 목격자의 말
7.6 전화 조사에서 인정
제8장: 박해를 중국 본토 밖으로 확대
8.1 해외 수련자에 대한 폭력과 위협
8.2 해외에서의 박해와 수련자 중국 송환
8.3 외국 관리와 시민 단체에 대한 위협
8.4 해외 언론 검열
8.5 중국 밖 기업에 대한 압력
8.6 교육기관 침투
8.7 수련자들의 여행권 제한
8.8 수련자들에게 중국공산당 간첩행위를 강요
II부: 박해의 핵심 가해자들
주요 내용
제9장: 주요 가해자
9.1 장쩌민의 역할
9.2 기타 주요 가해자
제10장: 탄압을 주도하는 조직들
10.1 리더십과 자원의 공유
10.2 공안, 사업부, 형벌제도를 통제하다
10.3 610사무실
10.3.1 그 태동과 성장
제11장: 탄압의 공범자
11.1 지역사회 당국
11.2 외국계 기업과 미디어
11.3 탄압 실행을 도운 중국 관리들
제12장: 장쩌민 대상 고소ㆍ고발 20여만 건
핵심 요약
12.1 장쩌민에 대한 형사고소 사례
12.2 통계 요약
12.3 수련자에 대한 보복
12.4 대중의 지지가 늘어나다
III부: 파룬궁의 현황
핵심 요약
제13장: 탄압에 대한 중국 내부의 대응
13.1 초기의 항의
13.2 사람들과 직접 대화하기
13.3 자료 전달과 배너, 포스터 게시
13.4 가해자들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다
13.5 전화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파
제14장: 중국 밖의 인식 제고
14.1 중국대사관과 영사관 앞 시위
14.2 집회와 탄원
14.3 SOS 도보여행과 라이드 투 프리덤
14.4 지역사회 행사나 관광 명소에서 알리다
14.5 국제미술전
14.6 다큐멘터리 영화
14.7 중국 수련자의 석방을 위해 노력하는 국제단체들
제15장: 박해 속에서도 파룬궁을 만난 신수련생들
15.1 중국: 수감 중 파룬궁을 배운 죄수 이야기323
15.2 파룬따파를 환영한 인도의 티베트 학교들324
15.3 인도네시아: 500명 중학생과 교사, 파룬궁 연공을 하다325
15.4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영적 여정326
15.5 중국 관광객들은 해외여행 중
파룬궁에 대한 진실을 확인하려고 한다
15.6 대만 신수련생: 파룬따파 수련으로 활기찬 삶을 되찾아327
15.7 한국: 서울, 체험을 나누는 신수련생들328
15.8 맨해튼의 텐티북스, 파룬궁을 편하게 배울 수 있는 곳
제16장: 국제사회의 지지
16.1 다른 나라에서 고발당한 중국 관리들
16.2 각국 정부의 조치
16.3 비정부 조직들의 행동
16.4 결의안, 성명서와 지지서한
16.5 강제장기적출에 대한 국제적 대응
16.5.1 결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