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문명과 야만, 과학과 미신이 뒤엉킨 ‘불경한’ 의료 역사 과거 의학은 믿을 수 없을 만큼 낙후되어 있거나 거의 미신에 가까운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 사람들은 현대 의학의 ‘눈부신’ 광경만 쳐다볼 뿐 의료 역사의 숨은 이야기는 거의 알지 못한다. 이 책은 심장외과 전문의인 지은이가 3년간 어렵게 수집한 자료를 정리한 의료 역사의 ‘불경한’ 풍경이다. 한때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미라를 갈아 만든 가루를 사용했다. 또 시체의 지방을 떼어내 연고를 제조했으며, 전사한 병사의 시체에서 치아를 훔쳐 틀니를 만들었다. 전염병이 도는 지역을 새 부리 가면을 쓴 의사들이 지팡이를 들고 돌아다니며 진료했고 이발사들은 외과 수술을 했다. 지은이는 이러한 황당무계하고 잔혹하며 신기하기 짝이 없는 의료 역사의 ‘뒷골목’ 이야기를 시종일관 흥미롭게 풀어낸다. 그는 풍부한 역사 자료와 전문 의학 지식에 바탕을 둔 경쾌한 문체로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아 감각을 깨워 상상력을 증폭시킨다. 그리움이 깊으면 치질이 된다 그리움이 깊으면 병이 된다. 바로 상사병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상사병을 일종의 우울증으로 보았다. 재미있게도 당시에는 상사병이 ‘치질’과 관련 있다고 생각해, 명의 갈레노스는 상사병을 치료하려면 환자의 치질 부위에서 피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0세기 때 페르시아의 명의 라제스는 상사병이 깊어지면 환자는 늑대 인간이 되든지 아니면 죽는다고 기록에 남겼다. 17세기 프랑스 의사 자크 페랑은 ‘비극’을 막기 위해 환자가 기력이 쇠약해질 때까지 정맥에서 지속적으로 피를 뽑으라고 권했다. 지금 시각으로 보면 그야말로 가관이다. 상사병에는 약이 없다고 했던가. 현대 의학에서는 상사병을 감정 조절 장애로 볼 뿐이다. 이런 이야기도 있다. 인류는 대략 6,000년 전 늑대의 이빨을 의치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연히 가장 좋은 의치는 사람의 치아다. 약삭빠른 자들은 시체를 도굴해 의치를 공급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물량’이 충분치 않자, 이들은 전사한 병사들에 눈을 돌렸다. 대표적인 것이 19세기 워털루 전투에서 전사한 사병들의 치아로 ‘워털루 치아’라는 말이 생겨났을 정도다. 워털루 치아는 당시 중요한 의치 공급원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한국 사회는 한때 중동호흡기증후군 일명 메르스로 큰 혼란을 겪었다. 사람들은 걱정과 두려움으로 하루하루 보내면서, 방호복을 입은 의사들의 모습을 TV로 지켜보아야 했다. 17세기에도 전염병이 돌면 의사들이 일종의 ‘방호복’을 입었다. 프랑스의 명의 샤를 드 롬이 고안한 것으로 새 모양과 비슷했다. 당시 의사들은 전염병 지역을 새 부리 가면을 쓰고 망토를 둘러 입고 장갑 낀 손에 지팡이를 들고 다녔다. 가면과 망토로 자신의 몸을 보호했고, 지팡이로는 돌림병에 걸린 (천벌을 받은) 환자를 매질했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면 웃음만 나오는 이런 일들이 당시에는 매우 진지하게 행해졌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린’ 것일까. 이러한 이야기들 사이에 웃지 못 할 이야기들도 나온다. 20세기 중반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의사 크리스티안 바너드는 세계 최초로 심장이식 수술을 했다. 그러나 그 성공 뒤에는 병원 정원사 ‘나키’의 조력이 있었다. 나키는 흑인으로 정규 교육도 받지 못했지만, 뛰어난 손재주로 심장이식 수술의 핵심을 익혔다. 심지어 다른 의사들에게 그 기술을 가르쳤으며, 심장이식 수술을 할 당시 심장 기증자의 몸에서 심장을 적출해 바너드에게 전달했을 정도였다. 그는 2002년 케이프타운 대학에서 명예석사 학위까지 받았지만, 남아공의 인종차별 정책 탓에 끝내 정원사 신분으로 퇴직할 수밖에 없었다. 에베레스트 정상을 눈앞에 두고도, 뒤처진 에드먼드 힐러리를 30분이나 기다준 셰르파 텐징 노르가이처럼. 터무니없는 현실과 황당무계한 이야기 사이 지은이는 만병통치 처방으로 인식된 ‘미라’에서부터 ‘신화’와 관련한 마지막 이야기까지 황당무계한 이야기들을 쉴 새 없이 소개한다. 300년 전의 의학적 성과가 오늘날에는 야만적인 것으로 치부될 수 있겠으나, 그의 말처럼 300년 후에는 현대 의학이 똑같이 평가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는 자신이 의사임에도 이렇게 말한다. “의학은 터무니없는 이야기 몇 토막일 뿐이다.” 생각해보면 현실은 얼마나 터무니없던가. 믿을 수 없는 일들이 끝임 없이 벌어지는 이 시대에 지은이가 전하는 이야기들이 차라리 더 현실에 가깝지 않을까. 그러나 이 책은 여기에 머물지 않는다. 책을 읽는 내내 ‘인간’과 ‘삶’에 대한 예의가 지은이의 해박하고 재치 있는 문장 속에는 배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현실을 살아갈 힘이 필요한 사람들이 책을 읽는 이유가 이것에 있다면, 이 책은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다. 물론 재미는 기본이고 식견은 보너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