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5 머리말 … 7 프롤로그 … 10 1장 로마를 계승한 게르만족, 로마에서 점차 분리되다 게르만족의 자유를 지켜낸 전사, 헤르만 … 24 ‘도이치’의 탄생과 변화 … 29 ‘유럽’을 만든 카를 대제 … 35 독일 역사의 시작점, 911년 혹은 936년 논쟁 … 45 한자동맹, 북해와 발트해 중심의 초광역 교역망 … 53 최고의 인플루언서,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 … 59 30년 전쟁과 독일 내 영방국가의 대두 … 67 2장 프로이센의 대두와 독일 민족의 형성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 국왕으로 즉위하다 … 76 유럽이라는 지도를 완성한 프리드리히 2세(대왕) … 82 프리드리히 대왕,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이축 시대를 열다 … 91 나폴레옹의 침략에 맞서 독일 민족이 형성되다 … 98 프로이센, 나폴레옹 전쟁에서 죽다 살아나다 … 102 빈 회의의 최대 수혜국, 프로이센 … 110 임마누엘 칸트, 영구평화론을 제시하다 … 115 헤겔, 절대국가 프로이센을 칭송하다 … 120 괴테의 82살 생애로 보는 독일 문화의 황금기 … 124 부록1 서양의 손자,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 131 3장 경제통합에서 정치통합으로, 뒤늦은 통일과 독일 제국의 발전 관세 동맹, 통일의 밑거름이 되다 … 140 백설공주, 나폴레옹에 맞서다 … 147 민중들의 봄, 1848년 3월 혁명 … 153 카를 마르크스, 독일 사회주의 운동을 촉진하다 … 160 철혈재상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주도로 독일을 통일하다 … 167 비스마르크가 복잡한 동맹 체제를 구축한 이유 … 177 가톨릭 세력을 오히려 강화한 문화투쟁 … 182 채찍과 당근, 1878년 사회주의자 탄압법과 최초의 복지정책 등장 … 185 ‘메이든 인 저머니’가 영국을 앞서다 … 189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과 제국주의 열강의 충돌 … 194 무제한 잠수함 작전, 독일 패전의 원인이 되다 … 200 제1차 세계대전 책임 논쟁 … 208 부록2 제1차 세계대전, 무역이 평화를 촉진한다는 환상을 깨버리다 … 213 4장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의 제3제국,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유럽의 파괴에 몰두한 파리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 222 슈트레제만의 시대, 바이마르 공화국의 안정기(1923-1929) … 231 『서부전선 이상없다』와 황금의 20년대, 바이마르 문화의 전성기 … 236 33% 정당 득표율로 총리가 된 히틀러 … 242 대공황, 히틀러를 총리로 만들다 … 248 아우토반 건설과 경제회복, 버터보다 대포를 좋아한 나치 … 254 베르사유 조약 폐기와 체코슬로바키아 병합까지,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 나치의 외교정책 … 260 히틀러, 전격전과 파리 점령으로 전쟁 초반의 승기를 잡다 … 266 히틀러의 소련 침략과 대미 선전포고, 제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결정하다 … 271 히틀러 없이 홀로코스트가 가능했을까? … 278 나치 시대의 미미한 저항, 백장미와 7월 음모 … 286 5장 국토 분단과 통일,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 냉전의 본격 신호탄, 베를린 봉쇄에서 서방이 승리하다 … 296 1표 차이로 서독 총리가 된 콘라트 아데나워, 친서방정책을 확립하다 … 303 독일-프랑스 우호조약, 양국의 정책협의를 제도화하다 … 311 독일 정치의 문법, 연립정부 … 315 극작가 브레히트, 인민을 바꾸라 외치다 -1953년 동독 봉기 … 321 사회적 시장경제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