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9 1. 서론 14 서사와 시학 17 서사이론의 요소들 20 서사는 기호학적 구조인가? 25 현시와 물리적 대상 29 서사적 추론, 선택 그리고 일관성 31 서사구조에 대한 개괄 35 연재만화의 예 42 “읽기” 그리고 “읽어내기” 47 2. 이야기 : 사건들 50 연쇄 · 우발성 · 인과성 54 핍진성과 동기부여 58 핵들과 위성들 64 이야기들과 반(反)이야기들 68 지속적 긴장감과 놀라움 72 시간과 플롯 77 순서 · 지속 · 빈도 78 시간 구별은 어떻게 현시되는가 99 서사적 거시구조와 플롯의 유형학 105 3. 이야기 : 존재물들 120 이야기-공간과 담화-공간 121 영화서사물의 이야기-공간 122 언어서사물의 이야기-공간 127 이야기-존재물들 : 인물 135 아리스토텔레스의 성격 이론 137 인물에 대한 형식주의와 구조주의의 개념들 139 토도로프와 바르트의 인물 143 인물은 열린 구조물인가, 닫힌 구조물인가? 147 열린 인물 이론의 모색 150 인물 : 특성들의 패러다임 158 인물의 종류 165 A. C. 브래들리와 인물분석 168 배경 174 4. 담화 : 서술되지 않은 이야기들 182 실제작가, 내포작가, 서술자, 실제독자, 내포독자, 수화자 185 시점과 그것의 서술적 목소리와의 관계 189 영화에서의 시점 198 서술자의 화행과 인물의 화행 201 “서술되지 않은” 재현 일반 208 무서술자의 유형들 : 씌어진 기록들 211 순수한 발언기록 217 독백 223 사고의 기록들 : 자유간접화법 = 내적 독백 226 의식의 흐름 = 자유연상 232 영화에서의 내적 독백 242 5. 담화 : 숨은 서술자와 드러난 서술자 246 숨은 서술자 248 부가간접화법과 자유화법 250 서술 목적을 위한 문장의 조정 : 하나의 예로서 전제 263 서술적 전달에서 권위의 제한 266 제한적 이동 대 전지적 정신 접근 271 드러난 서술 : 배경설명 276 드러난 서술 : 시간요약 280 인물이 생각하지 않은 또는 말하지 않은 것에 대한 보고 284 에토스와 논평 286 논평 288 암시적 논평 : 아이러니한 서술자와 믿을 수 없는 서술자 289 이야기에 대한 논평 : 해석 300 이야기에 대한 논평 : 판단 304 이야기에 대한 논평 : 일반화 307 담화에 대한 논평 313 수화자 319 결론 332 서사구조도 338 찾아보기 340 역자 후기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