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낸 이유 제1부 죽음도 막지 못한 과거 합격 열망 1 죽어도 과거 시험은 봐야 했다 2 임진왜란, 그 사지(死地)에서도 과거를 실시하다 3 과거 합격 전에는 눈을 못 감다 제2부 과거 시험에 합격해야 했던 진짜 이유들 1 벼슬 때문만은 아니었다 2 부(富) 때문만도 아니었다 3 가문을 유지해야 했다 4 '학생' 딱지를 떼어야 했다 5 과거 합격은 곧 학력 취득 6 한바탕의 축제를 위하여 7 과거 합격은 인간의 조건 제3부 과거공부의 진실 1 사교육의 시대였다 2 예상 문제집이 판을 치다 3 그리고…… 제4부 조선시대 과거공부를 되짚어 보며 1 과거 없으면 공부도 없다 2 민족성 시비 3 별시가 문제였다 4 조선시대 선비들의 학력(學力) 수준 제5부 시험은 우리교육에게 무엇인가 1 우리 학력병의 뿌리 : 과거 합격 2 과거 시험, 그것은 교육의 재앙이었다 3 과거 시험의 핵심 : 공정성 4 그래서 입학사정관제는 유보되어야 한다 5 과거 시험, 그리고 비행기 이착륙 금지 6 획일적 입시 제도는 철폐되어야 한다(?) 7 재고되어야 할 특별 전형 8 입시 지옥으로 몰고 가는 대학 입시 다양화 9 사교육의 정체와 그 해법 10 추천제 입학과 국민 정서 11 수행평가제는 유보되어야 한다 12 수능 시험을 쉽게 출제해서는 안 되는 이유 13 고교등급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14 수능 시험날 '법석'의 이유 15 '수능 선물' 현상의 의미 16 현대판 초집을 보면서 17 학교 붕괴, 어떻게 막을 것인가 18 건강한 우리교육을 위하여 과거제도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