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중앙일보 배상복 기자가 전하는 기자처럼 글 잘쓰는 비법 제1권~! 이제는 글쓰기도 경쟁력인 시대, 대입 논술에서 입사 시험과 직장 생활, 그리고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글쓰기를 잘하면 성공하는 시대가 되었다. 글쓰기가 두려운 당신, 어떻게 써야할지 난감한 당신을 위해 문장에서부터 한 편의 글을 완성하기까지 글쓰기에 꼭 필요한 핵심 요령을 짚어준다. ‘기자처럼 글 잘쓰기’ 1권 『문장기술』제1부에서는 글쓰기의 기초, 문장론에 대해 ‘문장의 10계명’을 중심으로 쉽고 명료하게 설명한다. 제2부에서는 저자 배상복기자가 중앙일보에 게재했던 칼럼들 중 우리들이 쉽게 틀리고 아리송해 하는 표현들을 중심으로 구성해 실제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 글을 잘 써야 성공한다 이제는 말보다 글이다. 글쓰기가 경쟁력인 시대에 글쓰기는 꼭 필요한 능력이다. 대입 논술에서부터 시작해 입사 시험과 직장 생활에 이르기까지 글쓰기가 필요하지 않은 곳이 없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글쓰기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과거에는 직접 만남이나 전화로 이루어지던 많은 것들이 이제는 인터넷상의 글을 통해 이루어진다. 글쓰기가 일상화되다 보니 남들보다 글쓰기를 잘한다면 그만큼 경쟁력을 갖는다. 남들과 똑같이 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 글쓰기가 경쟁력인 시대이고 글을 잘 써야 성공한다. √ 누구나 잘 쓸 수 있다 글쓰기가 경쟁력이고 삶을 풍요롭게 해 주지만 막상 글을 쓰려 하면 잘 되지 않고 앞이 꽉 막힌다.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이나 적게 받은 사람이나 마찬가지다. 글쓰기가 두렵고, 마음같이 되지 않는다. 글쓰기가 마음대로 되지 않고 두려운 것은 내가 능력이 없거나 자질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 첫 문장을 완성하는 순간, 한 편의 글이 완성된다 글은 말과 달라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어야만 정확하게 의미가 전달된다. 적절한 단어로 하나의 완결된 문장 구조를 갖춰야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고 총체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일상적인 글쓰기는 그리 큰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소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요령이 필요하다. 글의 기본적인 구조나 이론적인 체계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 그래도 막상 글을 쓰려고 하면 잘 되지 않는 것은 실제적으로 글을 써 나가는 방식, 즉 글쓰기의 정석(定石)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정석이란 바로 글쓰기의 요령이다. 어렵게 생각해서 그렇지 실상은 몇 가지 요령을 터득하는 것만으로도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글쓰기는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