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타자기 앞의 테이레시아스 제1부 장님 모티프로 살펴본 시각의 문학사 제1장 그리스 신화와 성서에 나타난 장님상 1. 그리스 신화: 신의 초월적 시선과 장님 예언자 2. 성서: 신의 존재증명으로서의 성스러운 희생적 실명 제2장 고대와 중세의 시선 담론 - 초월적 시선과 지성의 시선 사이에서 1. 철학: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적 조명설 2. 문학: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과 에코의 『장미의 이름』 제3장 근대의 시선 담론 - 합리적인 이성의 눈과 원근법의 단안적 시선 1. 철학: 데카르트의 장님 비유와 추상적인 이성의 시선 2. 문학: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과 파묵의 『내 이름은 빨강』 제4장 현대의 시선 담론 - 근대적 시선 비판으로서의 장님상과 새로운 총체성의 동경 1. 철학: 디드로의 철학과 키틀러의 매체이론을 중심으로 2. 문학: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 프리쉬의 『내 이름을 간텐바인이라고 하자』, 은희경의 『그것은 꿈이었을까』 제5장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선 담론 - 데리다의 『눈먼 자의 회상』에 나타난 선험적 실명 제2부 철학 담론에 나타난 근대적 시선 비판과 그 문학적 형상화 제6장 시선 투쟁과 예술을 통한 구원: 사르트르 1. 『존재와 무』 2. 사르트르의 시선 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3. 『구토』 제7장 욕망의 시선과 시선에 대한 공격 욕망: 바타유 1. 『에로티즘』 2. 『눈 이야기』 3. 바타유의 욕망의 시선을 넘어서 제8장 감시의 시선과 시선의 폭력 1. 푸코의 『감시와 처벌』 2. 오웰의 『1984』 3. 무라카미 하루키의 『어둠의 저편』 제9장 시뮬라크르의 시대와 시선의 혼란 1. 보드리야르의 『상징적 교환과 죽음』 2. 보르헤스의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테르티우스」 3. 김영하의 「흡혈귀」 제3부 문학작품에 형상화된 시선 담론 제10장 근대의 시선 1. 의사의 시선 1) 졸라의 「실험소설」 | 2)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 3) 카프카의 「시골 의사」 | 4) 벤의 「뇌」 2. 사냥꾼의 시선 1) 원시인의 사냥과 신성의 관계: 캠벨과 바타유 | 2) 카프카의 「사냥꾼 그라쿠스」 | 3) 옐리네크의 『피아니스트』 | 4) 코넬의 「가장 위험한 게임」 제11장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선 1. 철학적 배경: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 아이의 시선 | 2) 시각중심주의에서 공감각주의로 2. 아이의 시선 1) 그라스의 『양철북』 | 2) 은희경의 『새의 선물』 3. 시각중심주의 비판 1) 시각의 자기성찰: 한트케의 『생트빅투아르 산의 교훈』 | 2) 후각 대 시각: 쥐스킨트의 『향수』 | 3) ‘탈경계’와 ‘창조적 반복’으로 본 감각 담론: 마이네케의 『음악』 수록문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