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사상

고은 · 인문학
106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2.9(6명)
0.5
4
5
평가하기
2.9
평균 별점
(6명)
코멘트
더보기
[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

시인 고은의 일기. 유신시대의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기록한 일기다. 이미 몇 해 전 「문학사상」 등에 그 일부가 연재되면서 반향을 일으킨 바 있는데, 이번에 '불나비의 기록'으로 연재된 일기를 포함해 지금까지 여러 지면에 발표된 70년대 일기를 한 권으로 정리했다. 정확히 1973년 4월부터 77년 4월까지 4년간의 기록이며, 출가 중이던 1959년에 쓴 21일간의 단식일기를 권말에 수록했다. 뒷날 <만인보>를 쓸 수밖에 없을 만큼 숱한 인물군상과 시대상황이 세밀하고 흥미롭게 기록되어 있다. 한국 현대의 정신사, 문화사, 정치사에 기라성 같은 발자국을 남긴 사람들과의 만남과 대화의 풍경들이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것을 보면, 시대의 시인 고은의 인간관계의 폭과 깊이에 주목하게 된다. 김병익, 김윤식, 박맹호, 김현, 백낙청, 이문구, 이병주, 박태순, 임헌영, 최인훈 등을 비롯해서 신문학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박목월, 서정주, 김동리 등에 걸쳐 이어지는 문단 인맥은 고은의 삶과 그 실천 자체가 이 나라 현대문학사, 정신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또한 리영희, 한승헌, 임재경, 남재희 등에 이르면 그가 당대의 지식인 집단과 얼마나 깊고 다채로운 교우관계를 두루두루 맺으면서, 시를 쓰고 현실에 발언하며 살았는지가 실감나게 된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별점 그래프
평균 2.9(6명)
0.5
4
5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책머리에 부치는 말| 어젯밤 바람에, 어젯밤 비에 1973 문학 쓰디쓴 것이기를 나는 허무주의자가 아니다 나는 그들의 죽음 뒤에 살아남았다 내생에는 역사가가 될 것이다 나에게는 아직 태극기가 없다 한 세상 살다 그렇게 갈 것인가 술은 말이 없어서 좋다 정치란 개가 짖어대는 정직성도 없다 나는 왜 고개를 끄덕일 줄 모르는가 1974 다시 이곳에 오지 마시오 희망이 없어진 곳에는 자유가 없다 어디에도 마음 열 곳이 없는 시대다 긴급조치 9호가 발동되었다 남산 쪽은 쳐다보기도 싫다 작가는 행복한 시대의 산물이 아니다 나는 나의 헌법을 제정하련다 육영수 죽은 날 나는 고독했다 예술은 때때로 직설로 돌아가야 한다 이제 나는 거리에 있을 것이다 자유실천문인협의회라는 이름이 되었다 백지광고야말로 시대의 절경이구나 1975 나는 빛의 자식인가, 어둠의 아비인가 유신이냐 아니냐의 기로에 서 있다 그때는 박도 없고 나도 없을 것이다 새벽 인혁당 8인 형이 집행되었다 긴급조치 9호야 오라! 눈을 감지 말아야 한다, 눈 감으면 끝장이다 시는 자유다 돌베개 전설의 주인공이 세상을 마치다 예술가는 거지이고 정치인은 도둑이리라 나는 나의 절망이다 시대에 지치고 다시 시대에 깨어난다 시꺼먼 환상이라도 그것을 붙들고 있을 것이다 1976 지금 나의 침묵조차 천박한 것이다 백수白手의 탄식 시인 선생! 지금 일어날 때요 하수상한 세월이 나를 취하게 하는도다 너희들의 청춘 그대로 돌이 되거라 내 마음속은 사막이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도, 함께 가자 했다 폭우! 홍수! 퍼부어라 쏟아져라 바오로야 잘 가거라 거대한 독재체제에 공허한 덕담을 던지다 통일은 역사가 아니고 생활이다 눈보라 치는 벌판의 청년, 그것이 나이다 1977 나의 시는 멀고 먼 누구의 시다 울음의 자식이 내 운명이다 하늘은 하늘이고 꽃은 꽃이다 추모하는 일이 나의 일이다 부록| 단식 21일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바람의 사상』, 시인의 심장으로 유신을 증언하다! 『바람의 사상』은 유신시대의 한복판에서 치열하게 기록한 일기다. 이미 몇 해 전 『문학사상』 등에 그 일부가 연재되면서 반향을 일으킨 바 있는데, 이번에 ‘불나비의 기록’으로 연재된 일기를 포함해 지금까지 여러 지면에 발표된 70년대 일기를 한 권으로 정리했다. 정확히 1973년 4월부터 77년 4월까지 4년간의 기록이며, 출가 중이던 1959년에 쓴 21일간의 단식일기를 권말에 수록했다. 『바람의 사상』에는 뒷날 『만인보』를 쓸 수밖에 없을 만큼 숱한 인물군상과 시대상황이 세밀하고 흥미롭게 기록되어 있다. 한국 현대의 정신사, 문화사, 정치사에 기라성 같은 발자국을 남긴 사람들과의 만남과 대화의 풍경들이 드라마처럼 펼쳐지는 것을 보면, 시대의 시인 고은의 인간관계의 폭과 깊이에 주목하게 된다. 김병익, 김윤식, 박맹호, 김현, 백낙청, 이문구, 이병주, 박태순, 임헌영, 최인훈 등을 비롯해서 신문학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박목월, 서정주, 김동리 등에 걸쳐 이어지는 문단 인맥은 고은의 삶과 그 실천 자체가 이 나라 현대문학사· 정신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또한 리영희, 한승헌, 임재경, 남재희 등에 이르면 그가 당대의 지식인 집단과 얼마나 깊고 다채로운 교우관계를 두루두루 맺으면서, 시를 쓰고 현실에 발언하며 살았는지가 실감나게 된다. 붓과 총이 충돌하던 시대, 참여시인이 되다 『바람의 사상』에 수록된 그의 일기는 1973년에 시작해서 1977년으로 맺고 있다. 이는 박정희 유신체제가 폭력화되어가는 과정과 그대로 겹친다. 시인의 개인사는 정치사회사이기도 하다. 일기의 처음을 펼쳐들면 우리는 술 좋아하고 원고 쓰는 일에 쫓기고 그나마 받은 원고료를 또다시 술에 퍼붓다시피 하면서, 그의 표현대로라면 ‘폐허’처럼 살았던 고은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어느새 억압과 고난을 마다하지 않고, 자유를 위해 실천하고 투쟁하는 지식인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목격하게 된다. 1972년 10월에 유신헌법이 선포되고 그 이듬해 1973년이 되면 박정희 정권이라는 전대미문의 독재체제의 폭력이 진행된다. 문인들을 비롯한 무수한 지식인들과 학생들이 박해의 대상이 된다. 1975년 인혁당 사건 관련자들의 사형집행에 이르면 시대는 질식할 지경이 된다. 시인의 일기는 이러한 역사의 굽이굽이를 놓치지 않고 생생히 기록한다. “총과 붓, 붓과 총의 충돌로 붓이 죽어가는 시대가 오는가?”라고 탄식하는 시인 고은은 당대의 현실에 대해 “나 같은 순수시인을 참여시인으로 만들 것인가. 이 군인의 시대, 이 육군의 시대야, 이 총검의 시대야, 이 탱크의 시대야, 이 색안경의 시대야”라고 직격탄을 날린다. 시인은 자신의 침묵이 천박하다고 자성하면서 현실에 대한 발언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현실에 대해 준열하게 발언하는 시인으로 변해간다. 시인이 써내려간 내면의 기록이자 역사의 기록 “한국은 인간의 묘지다!” 남산 중앙정보부의 협박과 정치권 실력자들의 회유 그리고 김대중과 박정희에 대한 시인의 생각들이 이 4년간의 일기에 촘촘하게 담겨 있다. “1975년 올해는 내 문학 생활이 어려울 것이 틀림없다. 원고 받을 곳도 없을 것이다. 잡지사나 출판사도 압력을 받을 것이다. 서점도 압력을 받을 것이다. 그 어디서나 나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올해 나는 고문, 구속, 연금, 감시의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나에게 노예의 연대기는 없다.” 『바람의 사상』은 단지 고은의 일기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 시대에 대한 엄정한 기록이기도 하다. 고치거나 은폐하거나 미화할 수 없는 당대의 목소리가 담긴 역사 기록이다. 40대 중반의 시인이 역사의 떨림과 충격을 피하지 않고 그대로 마주하면서 매일 써내려간 사초(史草)이다. 오늘의 뿌리가 되고 있는 1970년대의 역사를 알고자 한다면, 당대의 시대적 풍경과 인간 그리고 정치사회적 사건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면 이 책을 집어들 일이다. 1천 쪽이 넘는 분량이지만 단숨에 빠져들어 읽어나가게 되며, 기이하게도 일기가 아니라 애초부터 사건의 발단을 설정해놓고 전개해나가는 소설처럼 읽힌다. 시인 자신을 1950년대의 자식이라고 부르고, 또 『1950년대』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는 것을 떠올리면, 그의 일기가 역사에 대한 묘사가 충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