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들어가며 1부 유신의 모더니즘 1장 박정희 시대를 사유할 다른 시선이 필요하다 -‘유신의 모더니즘’, 그 주체는 정권이 아니라 민중 2장 유신, 자본과의 공모 혹은 대결 -유신체제와 자유주의 그리고 욕망이라는 이름의 ‘경쟁열차’ 3장 “너, 참 텔레비전이로구나” -바보상자에 갇힌 대중 4장 권력의 시선, 스크린을 지배하다 -영화, 검열과의 공존 5장 기능올림픽, 패자 부활의 잔혹사 -조국의 번영을 몸으로 이룩하는 산업전사들? 2부 박정희, 일그러진 영웅 6장 대중은 박정희의 성공을 욕망했다 -신화가 된 박정희와 근대화의 역설 7장 ‘퍼스트레이디’ 육영수 -박정희의 냉혹함을 보완한 ‘목련꽃’ 이미지 8장 억압과 부조리를 겨눈 ‘분노의 총성’ -총과 권력: 1970년대의 총기 사건 9장 충성과 반역 그리고 배반 -박정희의 중정부장들 10장 다른 나라, 다른 지도자 사이에서 -1970년대 ‘제3세계’ 지도자 비교론 3부 ‘국민 만들기’, 공포정치와 포퓰리즘 사이 11장 민족사의 재발견과 국민 만들기 -한국적인 것의 발명과 내재적 발전론 12장 발굴의 시대, 왜 하필 경주였나? -‘신라사’ 복원을 통한 유신정권의 정당성 주입 13장 ‘돈의 맛’, 욕망하는 농민을 생산하다 -새마을운동과 뉴타운 14장 고교 평준화, 불평등을 위한 평등한 경쟁 -평준화로 포장한 ‘국민총화’ 15장 정부재정 한 푼도 안 쓰고 시작한 ‘의료보험’ -무전무병의 미망, 의료보험과 의료자본주의 16장 연탄의 추억 -연탄파동과 오일쇼크 그리고 유신의 에너지 정책 4부 1970년대, 유신의 스펙터클 17장 『선데이서울』과 유신 시대의 대중 -독재권력과 대중의 날욕망 18장 권력의 품에 안겨 지배에 봉사한 문인들 -유신 시대 문단권력과 『현대문학』 19장 ‘유신의 금기’를 넘어선 청년문화 -대중문화와 청년문화에 담긴 시대의 욕망 20장 청년문화를 제압한 ‘대마초 파동’ -대마초는 정말로 ‘망국의 병’이었을까? 21장 ‘벗은 몸’, 유신 시대 주변부의 남성과 여성 -스트리킹, 1970년대의 나체들 22장 전위와 1970년대 그리고 유신의 예술 -하길종의 예술영화와 제4집단의 해프닝 5부 유신을 뛰어넘어, 꿈틀거리는 대중 23장 전태일과 열사 그리고 김진숙의 외침 -새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의 영원한 영웅 24장 유신 시대 한국의 자살 -‘압축성장’을 보이콧한 사람들 25장 유신의 교육과 대중지성의 성장 -개발주의 폭압 속에서 자라난 대중지성 26장 ‘저항의 시혼’ 김남주의 ‘사상의 거처’는 사라졌는가? -죽을 때까지 ‘전사’로 불리고 싶었던 시인 김남주 27장 자괴감의 이심전심, 유신의 심장을 쏴라! -부마항쟁, 심성의 연대로서의 저항 집필자 일람 |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