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협동조합을 넘어, 다시 협동조합을 향해 30년 내에 도래할 세 가지 위기 에너지와 식량 위기/ 저출산 고령화 위기/ 남북의 위기 협동에 대한 잘못된 생각 협동조합의 어원/ 협동은 사람만 한다?/ 협동은 동시대 힘없고 가난한 사람만 한다? 두레와 계를 통해 본 협동조합의 원리 두레와 계의 역사/ 두레=‘두르다’, 계자회야(契者會也)/ 두레=‘둘레’, 계자약야(契者約也)/ 두레=‘두루’, 계자합야(契者合也)/ 두레=제사+놀이+노동 2장. 협동조합의 역사: 로치데일에서 배운다 배경 사회 상황/ 협동조합의 아버지, 로버트 오언/ 로치데일의 전신(前身) 태동과 발전 동맹파업/ 대토론회/ 준비/ 개장식/ 위기와 극복/ 생산으로의 확장 로치데일이 의미하는 것 상호자조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소비의 조직화로부터 출발한다/ 조직된 소비의 힘으로 생산을 변화시킨다 조직된 소비와 변화한 생산으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한다 3장. 협동조합의 정의, 가치, 원칙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관한 ICA 성명 협동조합의 ‘정의’ 협동조합의 본질/ 협동조합의 주체/ 협동조합의 목적/ 협동조합의 수단/ 협동조합의 ‘정의’를 있게 한 철학적 기초 협동조합의 ‘가치’ 사업체로서의 협동조합이 지녀야 할 가치/ 결사체로서의 협동조합 조합원이 지녀야 할 가치/ 인(仁)의 관점에서 본 협동조합 조합원이 지녀야 할 가치 협동조합의 ‘원칙’ 로치데일 원칙/ 1937년의 ICA 원칙/ 1966년의 ICA 원칙/ 1995년의 ICA 원칙/ 1995년 원칙에 대한 해설과 그 특징/ 협동조합 원칙의 역사적 변천이 지니는 의미 십우도를 통해 본 우리나라 협동조합의 과제 소 찾아 나서기/ 저잣거리에 꽃피우기/ 곽암의 십우도 4장. 협동조합의 다양한 주체와 역할, 그리고 그 관계 주체란 무엇인가 주체의 정의/ 협동조합의 주체 주체 간의 관계 “조합원은 조합원이고, 직원은 직원이다”/ “조합원 안에 직원이 있다”/ “조합원 위에 직원이 있다” 주체의 노동과 역할 노동의 역사적 변천 과정/ 협동조합 내 노동의 변천 과정 협동조합 내 세 노동의 성격과 역할 조합원 활동과 직원 노동, 그 성격과 역할/ 조합원 노동의 성격/ 조합원 노동의 역할 5장. 생활협동조합과 함께 해온 지난 시간들 생협의 역사와 특징 생협의 태동/ 생협의 특징/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났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났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 생활재를 취급했다 생협이 지향하는 네 가지 순환 돈의 순환/ 재화의 순환/ 물질의 순환/ 에너지의 순환 생협과 공정무역 시장의 세계화와 자유무역/ 제3세계와의 세 가지 연대 방식/ 공정무역/ 필리핀 네그로스에서의 경험/ 설탕에 대한 두 가지 생각과 의미/ 교역을 넘어/ 공정한 무역을 넘어서 6장. 새로운 생협운동을 위하여 기본 방향 지난 생협운동의 의미와 당면한 과제/ ‘분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생협운동의 새로운 주체, 가치, 영역, 조직 방식 ‘노동’의 재정립 임노동, 그림자 노동, 버내큘러/ 인간의 세 가지 선택지/ 새로운 노동의 가치와 기술/ 새로운 노동과 생협운동 ‘노동’의 조직화 노동의 세 가지 조직 방식/ 결사체/ 노동자협동조합/ 몬드라곤 협동조합/ 노동자협동조합의 과제/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7장. 협동조합과 사회적 경제 사회적 경제에의 초대 성장과 복지 사이에서/ 사회적 경제란 무엇인가/ 사회적 경제의 교차 공간/ 사회적 경제와 사회운동, 연대의 경제/ 계(契)와 사회적 경제/ 사회적 경제로 새로운 시장을 상상력으로 사회적 경제 기획하기 첫 번째 상상력: 실제적이면서 형식적인 경제/ 두 번째 상상력: 생산요소에 대한 생명적 인식/ 세 번째 상상력: 호혜 안에 교환과 재분배 담기